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민화

추천0 조회수 5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민화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윤리문자도는 한자 자체가 지니는 조형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한자가 지니고 있는 조형성이란 허신(許愼)이 《설문해자 說文解字》에서 말한 상형(象形)의 개념과 통하는 것으로써‚ 상형은 문자 제작의 최초 단계인 회화법을 말한다. ‘효제충신예의염치’ 등의 여덟 문자를 소재로 하고 있는 윤리문자도도 한자의 조형성을 바탕으로한 문자 예술의 한 분야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윤리문자도는 각 글자마다 그 뜻과 관련된 일화나 상징물을 곁들여 그림으로써 회화성이 가미되어 있다는 점이 순수한 서예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윤리문자도는 장식의 목적으로 그려진 것이기는 하지만‚ 내용적으로는 서민들 스스로가 인간과 나라에 대한 도리를 깨우치고 그것을 수행하여 궁극에는 이상적인 세계에 도달하고자 하는 염원이 담긴 일종의 교화적 그림이라 할 수 있다 윤리문자그림은 ‘孝·?·忠·信·禮·義·廉·?’를 한 글자 씩 나누어 각 폭에 그리고 이것을 병풍으로 꾸민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각각의 문자 그림에는 이들 덕목이 지니고 있는 의미와 관련된 일화(逸話)나 고사(故事)‚ 혹은 일화와 관련하여 상징성이 부여된 기물이나 동식물이 글자 획(劃)의 일부를 구성하거나 여백에 곁들여 그려진다. 이들 소재 중에는 삼강행실도나 오륜행실도에 등장하고 있는 소재들을 비롯하여 고사와 관련되는 인물 혹은 기물 등과 근엄한 유학자들의 전유물처럼 되어 있었던 《시경》과 같은 고전 속에 나오는 소재들도 포함되어 있다 <의자(義字)의 특징> 의자(義字)의 넓은 획 속에 《삼국지 三國志》에 등장하는 유비(劉備)·관우(關羽)·장비(張飛)가 도원(桃園)에서 결의(結義)하는 장면이 곁들여 그려지기도 하며‚ 때로는 복숭아꽃만 그려 도원 결의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어떤 경우는 의자(義字)의 첫 째 두 째 획에 두 마리의 새가 마주보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기도 한다. 먼저 도원 결의에 대해서 말한다면‚ 삼국지의 세 주인공은 장비의 별장 뒤에 있는 복숭아나무 언덕에서 의형제를 맺었는데 이러한 이야기가 의(義)의 상징으로 선택되어 이 그림에 곁들여 그려지게 된 것이다. 한편‚ 두 마리의 새는 《시경》 〈주남 周南〉의 관저편(關雎篇)의 내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의로움은 상호 화합이 이루어졌을 때 더 큰 힘을 발휘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면 서로 어우러져 지저귀는 한 쌍의 물수리도 의의 의미와 관계없지는 않겠다. 그러나 엄밀히 따져 보면 글자의 뜻과 서로 연결되지 않는 소재인 것 같은데‚ 이러한 소재가 이 문자 그림에 등장하게 된 것은 화가의 개인적인 자질에 기인한다기보다‚ 서민들이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었던 낙천적 성향‚ 다시 말하면 집요하게 따지지 않고‚ 있는 그대로를 인정하고 넘어가는 관심 속의 무관심으로 해석해 볼 수 있겠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