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해수관음도

추천0 조회수 3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해수관음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및 설명> -관세음보살 산스크리트로 아바로키테슈바라(Avalokitevara)이며‚ 중국에서 뜻으로 옮겨 광세음(光世音)·관세음(觀世音)·관자재(觀自在)·관세자재(觀世自在)·관세음자재(觀世音自在) 등으로 썼는데 줄여서 관음(觀音)이라 한다. 관세음은 구역이며 관자재는 신역인데‚ 산스크리트 `아바로키테슈바라`‚ 곧 자재롭게 보는 이[觀自在者]·자재로운 관찰 등의 뜻으로 본다면 관자재가 그 뜻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일찍부터 관세음보살로 신앙되어 왔으며 관음보살이라 약칭하였다. 그래서 《묘법연화경(?法蓮華經)》의 관세음보살보문품(觀世音菩薩普門品)을 관음보문품(觀音普門品) 또는 관음경(觀音經)이라 일컫는다. 관세음(觀世音)은 세상의 모든 소리를 살펴본다는 뜻이며‚ 관자재(觀自在)는 이 세상의 모든 것을 자재롭게 관조(觀照)하여 보살핀다는 뜻이다. 결국 뜻으로 보면 관세음이나 관자재는 같으며 물론 그 원래의 이름 자체가 하나이다. 보살(bodhisattva)은 세간과 중생을 이익되게 하는 성자(聖者)이므로 이 관세음보살은 대자대비(?慈??)의 마음으로 중생을 구제하고 제도하는 보살이다. 그러므로 세상을 구제하는 보살[救世菩薩]‚ 세상을 구제하는 청정한 성자[救世?者]‚ 중생에게 두려움 없는 마음을 베푸는 이[施無畏者]‚ 크게 중생을 연민하는 마음으로 이익되게 하는 보살[??聖者]이라고도 한다. <상세설명> 화면 중앙의 관음은 황색계 연화좌위에 윤왕좌를 취하고 있다 . 두광은 호분으로 투명하게 표현하였다. 보관장식은 금니로 도드라지게 하였고 화불은 연화좌 위에 있고‚ 수발은 양 팔뚝 중간까지 내려왔으며 관의 팔은 좌우3개씩이며 좌측 팔의 지물은 연꽃가지 위에 화염형 보주가 올려져 있는 것과 ‚장식구를 검지 손가락 끝에 세운것과 연화좌 위 경전을 짚고 있다. 우측팔 세개는 세운 무릎에 기대어 한 손은 오른쪽 귀 가까이에 갔다 댄 것으로 보이고 또 한 손은 영락장식을 쥐고 있으며 나머지 한 손은 연꽃 위에 있는 염화형 보주를 들고 있다. 거친 파도 위에 연화좌가 떠 있는데 그 아래로 한마리의 용이 지나가는 것으로 보아 용이 연화좌를 받치고 있는 것 같다. 관음의 뒤쪽으로도 용 한마리가 향 좌측을 향해 날고 있으며 그 용머리 앞쪽과 여의주가 하나 그려져 있다. 하늘을 나는 용은 하얀 구름을 아스라히 표현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