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신중탱

추천0 조회수 2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신중탱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불교의 호법신(護法神)들을 묘사한 불화이다. <내용> 신중탱화는 법당의 중심부에서 좌우측 벽에 봉안된다. 신중탱화에 나오는 많은 호법신들은 우리나라 재래의 신들이 많다. 이는 재래 토속신앙의 불교적 전개를 의미하고‚ 그 기능은 토속신들이 호법선신(護法善神)의 구실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에서 신중탱화는 그 어떠한 탱화보다도 고유의 특성이 강하다. 우리나라 최초의 신중탱화는 화엄신중신앙(華嚴神衆信仰)에 바탕을 둔 것으로 39위(位) 신중탱화가 그 원형을 이룬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차츰 불교가 민간신앙과 강하게 결합되면서 보다 많은 신들을 수용하여 104위 신중탱화를 이루게 되고‚ 다시 개개의 신들이 지니는 본래의 신앙적 기능이 강조됨에 따라서 104위 신중탱화는 다시 분화된다. 현재 우리나라에 있는 탱화는 네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대예적금강신(?穢跡金剛神)을 주축으로 한 탱화이고‚ 둘째는 제석천과 대범천‚ 동진보살을 중심으로 한 신중탱화이다. 셋째는 제석천‚ 대범천을 중심으로 한 탱화이고 넷째는 동진보살을 중심으로 한 신중탱화이다. 또한 지금은 신앙의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지만 현재 신중탱화의 전신인 삼장탱화도 우리나라 특유의 신중탱화이다. 신중탱화는 재래신앙과의 습합내용을 찾아볼 수 있고‚ 민족의 여러 신앙형태를 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다 큰 의미를 가진다. <그림 설명> 삼단구도로 되어 있으며 상단 중앙에 마혜수라를 중심으로 좌우에 범천과 제석천을 배치하고 중단‚ 하단에는 여러 성중을 묘사했다. 상단의 제석천‚ 범천‚ 마혜수라는 합장을 하고 있으며 두광(녹색)과 신광(4색)을 묘사했다. 전체적으로 인물군은 좌우대칭을 이루지 않는다. (인물배치 또는 향하고 있는 방향 등) 마혜수라 좌우에 각각 두 사람 씩을 배치했다. 중단에는 중앙에 원류관을 쓴 두 인물을 배치하고 그 옆에 역사로 보이는 인물을 각각 배치하고 있다. 하단에는 여섯 인물을 그려넣었는데 그 중 세 인물이 각각 지물을 들고 있다. 상‚ 중‚ 하단 사이의 여백은 구름문양을 그려넣었는데 붉은 색‚ 흰색‚ 녹색을 차례로 써서 변화를 주고 있다. 녹색 주변에만 먹선으로 윤곽을 그려 넣었다. 화면은 세로가 100.4+ 27.6 으로 되어 있는데 꿰맨 자국없이 접합되어 있는 듯 하다. 세부표현은 안면‚ 전체 실루엣‚ 옷주름 등에 가늘고 균일한 먹선으로 윤곽을 묘사했다. 안면표현이 섬세하게 묘사되었고(눈썹‚ 수염‚ 모발‚ 주름 등을 가는 선으로 묘사) 눈썹‚ 수염‚ 발제 등에 녹색선을 이용했다.(법천‚ 제석천‚ 역사‚ 시녀‚ 동자) 의복에 별도의 번잡한 문양은 나타나지 않는다. 하단에는 무당으로 보이는 인물의 의복에만 갑주문 등이 나타난다. 특이한 점으로는 인물의 눈을 묘사할 때‚ 흰자위 가장자리에 가는 선을 그려넣어 사실감 또는 입체감을 부여한 듯 하다. 화기란은 화면 맨 아래 중앙에 있으며 "울산시 매암동 용화사 불기 2520년 봉안. 증명 덕산 금어 법우‚ 수준‚ 시주자 名" 등이 기록되어 있다. *배면 정중앙에 세로13.7‚ 가로11 크기의 종이를 붙이고 복장을 넣은 듯 하며‚ 좌측에 세로 42.6 가로 8.6 크기의 문서를 붙인 듯 하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