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지장시왕도

추천0 조회수 4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지장시왕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불교탱화의 하나로 지장보살(地藏普薩)에 대한 신앙을 묘사한 불화(佛畵)이다. <내용> 지장탱화는 우리나라 사찰의 명부전(冥府殿)에 많이 봉안된다. 이 탱화의 기본형은 지장보살과 좌우보처(左右補處)인 도명존자(道明尊者)와 무독귀왕(無毒鬼?)을 중심으로 명부시왕(冥府十?)‚ 사자(使者)‚ 장군(將軍)‚ 졸사(卒使)‚ 사방을 지키는 호법신 사천왕(四??)을 안배하는 것이 통례이다. 이 지장탱화에는 네가지 유형이 있다. 첫째‚ 지장독존도(地藏獸尊圖)‚ 둘째‚ 지장삼존도(地藏三尊圖)‚ 셋째‚ 지장삼존신중도(地藏三尊神衆圖)‚ 넷째‚ 지장시왕도(地壯十?圖) 등이다. 특히‚ 지장시왕도는 고려 때의 작품과 조선시대의 작품이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고려시대에는 지장보살의 권속들을 본존인 지장보살상의 대좌(臺座) 아래쪽 좌우에 배치하였음에 반하여‚ 조선시대의 지장시왕도는 여러 존상의 배열이 위쪽으로 올라온다는 특이점을 지닌다. 이와 같은 구도는 고려불화와 조선불화를 비교하는 하나의 기준이 된다. 전체적으로 볼 때 지장탱화에서 몇 가지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첫째‚ 지장보살이 두건(頭巾)을 쓴 형태와 머리를 깎은 승형(僧形)의 두 형태 중 조선 전기 이전에는 승형이 약간 많았으나 조선 후기에는 승형이 압도적으로 우세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앉아있는 형식은 결가부좌 형태와 한 발을 내려뜨린 반가(半伽)의 형태 등 두가지가 있는데‚ 결가부좌를 훨씬 많이 취하고 있다. 셋째‚ 인계(印?)의 모양이다. 왼손에 석장을 짚고 오른손에 보주(寶?)를 잡은 형식‚ 왼손에 석장이나 구슬을 잡고 오른손은 둘째와 셋째 손가락 끝을 가슴에 대어 올린 형태‚ 두 손 모두 둘째와 셋째 손가락을 대어 왼손은 내리고 오른손을 들었으며 석장은 도명존자가 대신 가지고 있는 형태 등 다양하다.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지장탱화 중 대표적인 고려시대 작품으로는 일본 닛코사 소장과‚ 독일 베를린동양미술관 소장의 지장시왕도‚ 일본 세이카당 소장의 지장시왕도 등이있다. <화면 설명> 화면 중앙 상단에 두건을 지장보살 좌우로‚ 좌측에는 도명존자가 합장을 하고 서 있고 우측에는 무독귀왕이 오른손에 홀로 보이는 것을 쥐고 있다. 도명존자 좌측으로 4명의 시왕이 원유관으로 보이는 것을 쓰고 손에는 종이 또는 홀같은 것을 들고 의자에 앉아있다. 세번째에 앉은 시왕은 원류관 위에 책을 두줄로 묶어 얹었다. 화면 상단 좌우 모서리에는 동물(소‚ 말로 추정)머리를 한 인물이 검을 들고 서 있다. 무독귀왕의 우측으로도 3명의 시왕이 의자에 앉아 홀 또는 종이를 들고 있다. 그 아래로는 홀을 들고 의자에 앉은 시왕과 업경‚ 종이를 들여다보는 시자 1명과 또 다른 시자 1명이 무릎을 꿇고 앉아있다. 그리고 그 아래에도 화면 하단 향좌측에 책을 펼치고 의자에 앉은 시왕 1명과 책상에 앉아 무언가를 쓰고 있는 시자 1명‚ 그것을 보고 있는 시자 1명이 있다. 화면 하단 향우측에 홀을 든 시왕이 의자에 앉아 있으며 그 오른편으로는 책상에 앉아 어딘가에 도장을 찍고 있는 사자 1명‚ 그것을 보는 시자 1명이 있다. 책상 사이에는 운문으로 원형을 만들어 지옥문과 지옥의 모습을 표현한듯하다. 그 아래로 화기란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