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제상

추천0 조회수 80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제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본 유물과 같은 목공예품은 신석기 시대나 청동기 시대부터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나‚ 이는 추측일 뿐 쉽게 부패하는 목제품의 특성상 유품(遺品)이 없어‚ 정확히 그 시기를 측정하기는 곤란하다. 다만 다소라도 근거를 찾는다면‚ 고구려 고분벽화에 평상(平床)이나 반상도(飯床圖) 등이 보이는 것‚ 통일신라 직후에 축조된 안압지(雁鴨池)에서 주사위·인형·남근(男根) 등의 목제품이 출토된 것‚ 백제 무녕왕릉(武寧?陵)에서 커다란 판재(板材)로 된 목관(木棺)을 비롯하여 두침(頭枕)과 족좌(足座) 및 패식(佩飾) 등이 출토된 것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삼국시대에 목공예품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는 목공예가 가장 화려하게 꽃피운 시대라 할 수 있는데‚ 특히 나전칠기는 고려청자와 더불어 이 시대의 빛나는 업적이었다. 고려시대 목공예를 대표하는 나전칠기로 현존하는 것은 대장경을 보관하기 위한 경상(經箱)이 있다. 조선시대에 이르면 목공예는 일체 인공적인 장식성‚ 인위적인 조형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간결한 선‚ 명확한 면‚ 그리고 목재 자체가 갖는 자연목리(自然木理)의 미로써 하나의 통일성을 나타낸다. 이 시대의 목공예품으로는 장(欌)·궤(櫃)·사방탁자(四方卓子)·문갑(文匣)·연상(硯床)·필통(筆筒)·주상(酒床)·식기(食器) 등을 대표작으로 들 수 있다. 본 유물은 제사에서 사용된 제상으로‚ 시기는 조선시대로 추정된다. 조선시대 때는 제상을 제탁 또는 찬탁이라고도 하였다. 제상이 사용된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제사에 대해 국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한 것은 고려 말인 1391년으로 이때 가묘 제도를 실행할 것을 명하였으나 그 시행이 본격화되기 시작한 것은 조선시대 초기이다. 조선 초기 태동(1400-1418)은 고금 서책을 열람하여 존비 귀천의 장기(葬器)를 정한 『장일통요(葬日通要)』라는 책을 집성토록 하여 이를 반포하고 이에 따르도록 하였다. 성종 때 하정사(賀正使)로 중국에 다녀온 윤효손(尹孝孫)이 중국에서는 선성(先聖)‚ 선사(先師)를 향사하는데 모두 찬탁을 설치한 것을 보고 우리나라는 모두 땅에다 바로 자리를 펴고 제사를 지내어 존경하는 뜻에 어긋나니 중국 제도를 따라 찬탁을 사용할 것을 건의하여 성종이 그 말을 좇아 처음으로 찬탁을 설치하였다는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의 기록으로 미루어 일반 사가에서의 제상 사용도 조선시대 초기 이후라 생각된다. 제상은 넓은 천판과 가는 원주 또는 각주로 이루어진 다리‚ 다리의 기능적인 보강과 장식을 위한 운각‚ 좌우의 중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천판은 네 변에 두꺼운 변자를 대고 이 있다. 본 유물은 외형상 단순한 운각형태에 속하며‚ 사용할때는 다리를 펴서 세우고‚ 보관시에는 접었다. 접합부에 귀열이 가 있으나‚ 자연스러운 나무결이 드러나 있어‚ 조선 목공예의 특징을 잘 보여 주고 있다. 가운데 여러 개의 판을 끼운 턱솔짜임 기법으로 제작되었다. 판 밑에는 판을 보강하기 위해서 횡목을 대었다. 제상의 외형상 형태는 단순한 운각 형태와 운각에 초엽을 곁들인 초연문 운각의 두 가지 양식이 있다. 또 기능적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된 것이 주류를 이루었다. 접도록 된 기제사용 제상은 항상 사당 안에 설치해 두는 제상과는 달리 제사가 끝난 뒤 다른 곳에 보관해 두어야 하므로 보관상의 편리함을 생각하여 조선시대 중기 이후에 생긴 양식으로 사공장(私工匠)에 의한 대량 생산으로 널리 보급되었다. 조립식 제상은 다리를 몸체에서 분리‚ 보관하는 형태와 다리를 떼어 방두산지로 고정하는 형태‚ 그리고 다리‚ 천판‚ 중대를 모두 분리하여 보관하는 세 가지 형식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