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단소

추천0 조회수 334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단소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단소는 우리나라 국악기(國樂器) 중에서 죽부(竹部)에 속하는 목관악기로‚ 퉁소를 향악기화 하여 조금 작게 만든 것이다. 우리나라의 국악기에는 거문고나 가야금처럼 상고시대부터 전해지는 것이 있는가 하면‚ 피리나 비파처럼 서역에서 전래된 것도 있고‚ 편종(編鐘)이나 편경(編磬)처럼 중국에서 전래된 것도 있다. 그러나 수입된 악기들은 대부분 한국 국악체제에 알맞도록 개량되거나 완전히 한국화하였다고 볼 수 있다. 현재 국립국악원에 보존되어 있는 국악기는 64종에 달하는데‚ 일부 악기들은 주법을 잊어 쓰이지 않고 있다. 국악기를 분류하는 전통적인 방법에는 2가지가 있는데‚ 그 하나는 악기의 재료에 의한 분류로 《증보문헌비고(增補文?備考)》에 의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음악의 계통에 의한 분류로 《악학궤범(樂學軌範)》에 의한 것이다. 재료에 의한 분류는 악기를 만드는 데에 필요한 주요 재료로서‚ 금(金:쇠붙이)·석(石)·사(絲)·죽(竹)·포(匏:바가지)·토(土)·혁(革)·목(木)의 8가지로 나누는 방법이다. 이 8가지 재료를 팔음(八音)이라고 하는데‚ 8음에 따른 악기는 다음과 같다. ① 금부:편종·특종(特鐘)·방향(方響)·징·꾕과리·나발·자바라·운라‚ ② 석부:편경·특경(特磬)‚ ③ 사부:거문고·가야금·대쟁(?箏)·아쟁(牙箏)·금(琴)·슬(瑟)·향비파(鄕琵琶)·당비파(唐琵琶)·월금(月琴)·해금(奪琴)·와공후·수공후·소공후·양금(?琴)‚ ④ 죽부:대금(?仁)·중금(中仁)·소금(小仁)·당적(唐笛)·단소(短簫)·약·적(暮)·향피리·당피리·세피리·지(附)·소(簫)‚ ⑤ 포부:생황(笙簧)‚ ⑥ 토부:훈(塤)·부(缶)·나각(螺角)‚ ⑦ 혁부:갈고·장구(杖鼓)·좌고(座鼓)·용고(龍鼓)·중고(中鼓)·교방고(敎坊鼓)·건고(建鼓)·응고(應鼓)·삭고(朔鼓)·뇌고(雷鼓)·뇌도·영고(靈鼓)·영도·노고(路鼓)·노도·진고(晋鼓)·절고(節鼓)‚ ⑧ 목부:태평소(?平簫)·박(拍)·축(送)·어(棘)가 있다. 음악계통에 의한 분류는 악기가 쓰이는 음악 및 유래에 의한 분류로‚ 향악기(鄕樂器:전래·고유의 향악에 쓰이는 악기)·당악기(唐樂器:중국의 민속음악에 쓰이던 악기)·아악기(雅樂器:중국 상고시대의 궁중음악에 쓰이던 악기)로 나누는 방법이다. ① 아악기:편종·편경·특경·특종·약·소·지·훈·금·슬·건고·웅고·뇌고·진고·축·어·부·삭고·영고·영도·도·절고·화·생·우 등‚ ② 당악기:방향·박·교방서·월금·장구·당비파·해금·대쟁·아쟁·당적·당피리·퉁소·태평소‚ ③ 향악기:거문고·가야금·향비파·대금·향피리 등이 있다. 대나무로 만든 단소는 죽부에 해당하며‚ 국악에서 향악계 음악에 쓰이는 피리이다. 피리는 일자 모양의 관에 구멍을 뚫기의 음넓이는 협종(?鐘) 중청협종(重??鐘)으로 2옥타브를 넘는다. 이 악기는 조선 성종 때의 《악학궤범》이나 그 이후의 문헌에도 보이지 않는데‚ 아마 조선 후기 중국에서 양금과 함께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인천직할시 무형문화재 제2호인 단소장(短簫匠) 기능보유자이셨던 고 김용신선생의 작품이다. 현재는 고인의 아들인 김환중선생께서 단소장의 기능을 승계하고 있다. 고 세로방향으로 불어 소리를 내는 악기로‚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부터 도입되어 사용되었다. 단소는 향악기화한 퉁소를 조금 작게 만든 것으로 세로로 불게 되었다. 악기의 소리는 크지 않으나 그 음색이 맑고 깨끗하여 독주악기로서 애용되며‚ 주로 실내악적인 줄풍류[絃風?] 등에 편성되어 생황(笙簧)과의 2중주‚ 양금·해금과의 3중주‚ 군악을 제외한 거문고회상의 합주 및 가곡·가사·시조의 반주악기로 쓰이고 있다. 크기와 구조는‚ 길이 약 1자 5치 4푼‚ 안지름이 4푼이며‚ 머리쪽에 김을 넣는 곳이 있고‚ 음의 고저를 나타내기 위한 지공은 머리쪽에서 8푼 내려와 뒤쪽에 1개‚ 더 내려와 앞쪽에 4개가 있으나 맨 아래의 제5공은 사용하지 않는다. 악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