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토기뚜껑

추천0 조회수 134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토기뚜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신라토기는 타날문토기가 발전한 것으로 정선된 태토에 굴가마에서 환원염으로 구웠으며 녹로를 사용하여 다량으로 생산하였다. 고온으로 구워진 경질토기로 흡수성이 거의 없고 표면에 유약을 바르지 않았으나 자연유가 부분적으로 덮여지는 경우도 있다. 기형은 기본적으로 굽다리접시와 목긴항아리가 있으며 특색 있는 기형에는 동물형토기와 토우가 있다. 세부 형식에서 신라군과 가야군으로 나누어진다. 신라군은 자체적으로 토기가 발전한 반면에 가야군은 청동기나 목기의 형식을 본뜨고 있는 것이 특색이다. 신라·가야토기에 나타나는 무늬는 다양하고 세련된 침선문이 위주가 되어 있다. 고식도질토기라고 부르는 초기의 토기에는 무늬가 잘 베풀어지지 않으나 신라토기와 가야토기로 분화하는 시점인 4세기 후반에서부터 뚜껑과 몸통에 각종의 무늬를 시문하게 된다. 이 때의 토기 무늬는 다양한 치구(齒具)를 이용한 기하학적인 무늬와 선각화문(線刻畵文)으로 나눌 수 있다. 신라토기의 무늬를 시기별로 정리하면 밀집파상문과 점열문이 처음에 등장하고 차츰 집선문‚ 원권문‚ 삼각거치문‚ 침엽문(어골문) 등의 기하학적인 무늬가 성행한다. 그리고 6세기 무렵에는 삼각형을 연결한 거치문과 그 아래 반원문을 연접한 거치반원문이 유행하면서 토기에의 시문범위가 좁아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6세기 후반부터 통일신라에 이르는 소위 통일양식 토기기의 토기에는 침선문 위주의 무늬가 사라지고 대신에 갖가지 무늬가 새겨진 도장을 이용하여 찍어낸 인화문이 유행하게 된다. 토기 뚜껑은 철기시대 들어서 나온 다양한 기형 중 하나이다. 삼국시대에는 각각 특징적인 토기들이 제작되고 사용되었는데‚ 고구려에서 보주형 꼭지가 달린 뚜껑과 반형 뚜껑이 등장한다. 보주형 꼭지가 달린 뚜껑은 주로 완류나 원통형삼족기류의 뚜껑으로 반형뚜껑은 대형 옹류의 뚜껑으로 사용되었던 것이다. 백제토기로서 웅진기와 사비기에는 뚜껑있는접시모양세발토기가‚ 한성기말에는 뚜껑접시가 보편적으로 제작되었다. 뚜껑에서는 이전의 단추형이나 사다리꼴형‚ 보주형 꼭지에 둥근 윤형 꼭지가 웅진기에 추가되며 뚜껑에 턱받침이 있는 것이 많다. 신라는 고분부장품으로 뚜껑굽다리접시‚ 뚜껑목긴항아리‚ 뚜껑접시‚ 뚜껑바리 등 다양한 기종을 볼 수 있다. 신라는 4세기 후반까지는 이른바 고식도질토기의 특징을 보여주는 뚜껑굽다리접시와 뚜껑없는굽다리접시가 공존하는데‚ 점차 전자는 소멸되고 후자가 신라식의 뚜껑없는굽다리접시로 발전하여 간다. 가야토기에는 뚜껑목긴항아리가 중요한 기종이 되고 있다. 굽다리 접시의 경우 신라토기는 그릇 뚜껑이 굽다리 모양 꼭지가 부착되고 기하학적 무늬가 새겨지는 데 비해 된 점토에 표면처리는 깨끗하고 일부분 자연유가 부착된 회색경질의 뚜껑이다. 가야토기는 단추모양 꼭지가 달리고 애벌레무늬가 찍혀 있다. 그리고 통일신라시대는 기형과 문양에 많은 변화가 생겨 뚜껑꼭지가 보주형으로 변한다. 본 유물은 투창이 뚫려 있는 대각과 같은 손잡이가 있었던 뚜껑으로 추정된다. 전체적인 기형이 약간 비대칭이기는 하지만 형태는 매우 균형이 잘 잡혀있다. 뚜껑은 파손되었으며 밑으로 뚜껑부가 볼륨있게 포물선을 그리며 내려오다가 드림부와 만나는 지점에서 바깥으로 꺾인다. 드림부는 안으로 내경하며‚ 기 내부를 관찰하면 드림부의 경계표시가 침선으로 한번 꺾여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매우 정선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