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반월도

추천0 조회수 120 다운로드 수 4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반월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원래 도‚ 검의 용도는 물건을 베고 썰고 깎는데 쓰이는 연모의 한가지였다. 그러나 부족이나 국가를 통치하는 자들의 영역확장 야욕이 도‚ 검의 용도를 살상의 무기로 바꾸어 놓았다. 도‚ 검은 수천 년간의 인류역사 속에 무기의 상징이요 공포의 대상으로 위력을 떨쳐 왔으나 총포의 발명이 도‚ 검의 지위를 원래의 연모로 바꾸어 놓았다. 무기로서 도‚ 검이 등장하기는 청동기시대부터 일 것이다. 우리 나라 초기 청동기시대에 나타나는 도‚ 검은 소위 요녕식(遼寧式)이라는 비파형의 동검(銅劍)이다. 이는 한반도 서남부 전역의 석관묘(石館墓)‚ 지석묘(支石墓)‚ 토광묘(土壙墓)‚ 주거지‚ 조개묻이 등에서 출토된다. 이는 모형은 마제석검과 같으나 도‚ 검의 몸체(劍身)와 손잡이를 따로 주조하여 이를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후기 청동기시대에 와서는 요녕식 동검문화의 바탕 위에 북방지역의 청동기문화와 중국 청동기문화특징을 받아 들여서 이를 완전히 소화시킨 한국식 동검문화를 이루게 된다. 이 동검은 요녕식 동검요소와 달리 검신(劍身)이 세분화되며‚ 검신과 기부(基部)도 직선화 된다. 그 후 중국 철기문화의 파급으로 청동문화는 쇠퇴하여지고 한국의 청동문화는 일본으로 건너가서 야요이시대(彌生時代)의 청동기문화를 이룩하였다. 철기가 일반화되면서 이제 전쟁에 쓰이는 주된 무구는 바로 철제도검이 되었다. 따라서 나라마다 이름난 장인들을 불러들이어 명검(名劍)을 만들려 하였다. 명검이라는 것은 좋은 쇠를 불에 달구어 수 없는 단조(鍛調)와 단접(鍛接)‚ 그리고 단금질을 하여 불순물을 모두 빼서 가볍고 유강(柔剛)을 지니게 만든 도‚ 검이다. 동양 역사에서 명검에 관한 기록을 보면 <사기(史記)> 소진전(蘇秦傳)에는 한나라에서 쇠뇌와 도‚검을 잘 만들었는데 그 중에서도 오나라 간장(干將)이 만든 용천검(龍泉劍)과 원나라 구야(歐冶)가 만들었다는 태아검(?阿劍)이 보검(寶劍)이었다. 일본에서도 산성군(山城君) 전성시대에 만들었다는 상고도(上庫刀)나 후조우원(後鳥羽院)때 만들었다는 종근국(宗斤國)‚ 길국(吉國) 등의 나라 이름이 새겨진 것은 명검이라 한다. 유명인 들이 아끼던 도‚ 검로는 관우의 청룡언월도(靑龍偃月刀)‚ 도요도미히테요시(豊臣秀吉)의 미첨도(眉尖刀)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한고조의 도‚ 검은 7척‚ 손거(孫去)가 제작한 도‚ 검은 7척5촌‚ 풍이(馮異)가 하사 받은 옥구검(?具劍)은 7척‚ 모용수(慕容垂)의 암수 두자루의 도‚ 검도 7척이었다고 한다. 무게는 명사(明史) 유정전(劉挺傳)에는 정은 강철로 만든 120근이나 되는 도‚ 검을 말 위에서 빙빙 돌리면 나는 것 같나 일본의 도‚ 검은 명칭이나 모양새가 다르다. 본 유물은 청일전쟁 당시에 청군이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반월도(半月刀)이다. 현재 녹이 많이 슬어 있다. 길이는 76.5cm이다. 칼은 길고 끝 부분이 뾰족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현재는 파손이 약간 파손이 된 상태이다. 손잡이에는 둥근 고리를 부착하였다. 았다고 한다. 이러한 정황으로 미루어 보면 현충사에 있는 이순신 장군의 도‚ 검이나 충민사에 있는 임경업 장군의 도‚ 검이 실제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도‚ 검에 맞추어 검법(劍法)이 이루어지는데 대체로 중국 검은 언월도처럼 무겁고 도‚ 검등이 두터워서 찍는 검법 쪽으로‚ 일본도는 가볍고 검신이 얇아 베는 검법 쪽으로‚ 우리 나라 도‚ 검은 양국의 중간정도라서 양쪽으로 운용할 수 있어 검법이 발달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우리 나라에서 사용되었던 도‚ 검은 무예도보통지에 쌍수도(雙手刀 : 본명은 長刀)‚ 환도(環刀 : 본명은 短刀)‚ 쌍검(雙劍 : 가장 짧은 腰刀)‚ 월도(月刀)‚ 협도(狹刀 : 도‚검날이 뒤로 휘어졌음)등이 실려 있다. 중국의 도‚ 검은 우리의 도‚ 검과 비슷하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