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사발

추천0 조회수 69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사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청자란 철분이 약간 섞인 청자 태토에 2-3% 정도의 철분이 함유된 투명유약을 발라 구워낸 자기를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청자는 통일신라시대에 개발 성립 된 회유(灰釉)의 기술 바탕에 당시 중국 월주요(越州窯)의 청자 기술이 도입됨으로써 만들어지게 되었는데‚ 청자 발생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있지만‚ 늦어도 10세기 후반에는 만들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청자는 초기에는 기술상 여러 가지 미숙함을 보이지만‚ 이후 우리나라의 청자 기술은 급속도로 성장하여 12세기 무렵에는 강진 용운리 가마‚ 고창 용계리 가마‚ 강진 사당리 가마‚ 부안 유천리 가마 등에서 소위 비색청자(翡色靑磁)라고 불리는 중국을 능가하는 뛰어난 순청자가 만들어지게 된다. 순청자는 문양 장식이 없는 소문청자(素文靑磁)와 성형한 후 표면에 음각 양각으로 문양을 새기거나 투각한 청자‚ 그리고 동식물의 형태를 본떠 만든 상형청자(象形靑磁)를 가리키는 말이다. 문양을 넣을 때 청자의 태토색인 회청색 외에 다른 색을 사용하지 않는 순수한 청자색이라는 의미에서 순청자라고 부른다. 12세기는 비색이 가장 큰 특징인 순청자의 전성기였다. 문양은 연판문(蓮瓣文)‚ 국화당초문(菊花唐草文)‚ 국화‚ 모란‚ 연꽃‚ 대나무‚ 매화 등 식물과 앵무새‚ 원앙‚ 학‚ 봉황‚ 나비‚ 벌‚ 물고기 등 동물이 중심문양으로 등장하여 소재가 다양해지는 한편‚ 뇌문대(雷文帶)‚ 당초문대(唐草文帶)‚ 여의두문대(?意頭文帶)‚ 연판문대(蓮瓣文帶) 등을 주변 문양으로 장식하면서 구성도 복잡해진다. 한편‚ 원숭이‚ 오리 등을 상형한 청자도 만들어진다. 또한 11-12세기에는 철화(鐵畵) 철채(鐵彩)청자도 만들어지는데‚ 철화청자는 산화8-10%의 산화철이 함유된 흑토를 묽게 개어 태토 위에 붓으로 문양을 그리고 청자유를 씌운 것이고‚ 철채청자는 청자 태토로 만든 그릇 전면에 흑토를 바르고 청자유를 씌운 것으로 마치 흑유를 입힌 흑자(黑磁)처럼 보인다. 12세기 중반이 되면‚ 새로이 상감청자가 발생되어 12세기 말에서 13세기에 절정기를 이룬다. 상감청자는 문양을 음각한 후 그 틈에 흑토와 백토를 메워 넣는 상감기법으로 시문한 청자이다. 상감기법은 흑토와 백토 및 청자토 등 자기 성질이 다른 재료를 조화시켜야 하는 수준 높은 기술 조건을 바탕으로‚ 치밀한 조작 기술과 미적 감성까지 갖추어야만 완성될 수 있는 고품위의 기법이다. 13세기에는 청자에 금채(金彩)를 가한 화금청자(畵金靑瓷)‚ 진사(辰砂)를 시유한 진사청자(辰砂靑磁) 등 기교적인 청자도 만들어지며 발전된다. 그러나 14세기 들어‚ 원(元)과의 오랜 전쟁으로 인한 경제위기‚ 원의 간섭‚ 권문가 없는 상태의 환원염의 경우 엷은 회청색을 띠게 된다. 이상적인 청자의 색은 환원염으로 불을 땠을 때‚ 아주 엷은 녹색을 띤 밝은 회청색이다. 본 유물은 산화염의 상태에서 번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그릇에도 한쪽은 황갈색‚ 한쪽은 회청색으로 두 색이 동시에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산화염과 환원염이 공존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세족의 대두 등 어지러운 국가 상황아래 고려청자도 쇠퇴하게 된다. 기형은 무디고 둔중해지고‚ 빛깔은 탁해지며‚ 무늬는 소략화 되거나 조잡해지고‚ 유조(釉調)와 작풍(作風)도 점차 저하된다. 본 유물은 청자사발로 시기는 고려 시대로 추정된다. 순청자이며‚ 굽에서부터 직선에 가까운 곡선을 그리면서 올라가다가 구연부가 벌어진 기형이다. 구연부에 약간의 턱이 져 있으며‚ 일부 파손되었다. 내면 바닥에는 음각 원문이 있으며‚ 유색은 갈색이 강한 녹갈색이다. 유색은 가마에 불을 때는 번조 분위기에 따라 변화한다. 청자와 같이 유약과 태토 안에 3% 내외의 산화철을 함유한 경우‚ 산소가 많은 상태의 산화염으로 불을 때게 되면 유색이 엷은 황갈색에서 녹갈색을 띠며‚ 산소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