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조선국전도

추천0 조회수 164 다운로드 수 4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조선국전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지도는 지구 표면의 전체나 일부를 일정 재료(비단 ‚ 종이 등)에 그린 것으로 한 지역의 공간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그 땅 위에서 이루어지는 정치‚ 사회‚ 문화적 모든 현상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표현한 그림이다. 그러므로 지도는 작성하는 목적이나 시기에 따라 수록한 정보의 내용이 달라지게 되며‚ 지도가 제작된 시대를 살던 이들의 세계관이나 지리관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된다. 그런 의미에서 옛 지도는 한 지역의 박물관이며 훌륭한 역사적 고증자료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삼국시대 이후 여러 많은 지도가 제작되었다. 그러나 고려 이전의 지도는 거의 전하지 않고 기록을 통해서만 알 수 있고‚ 현재 전하는 지도들은 대부분 조선시대 이후에 제작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제작된 지도들을 유형별로 간단히 나누어 보면‚ 보통 천하도라고 불린 세계지도가 있고‚ 우리나라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그린 조선전도‚ 행정구역인 도(道)를 단위로 하여 그린 도별도‚ 역대의 수도였던 대도시의 성곽 안쪽을 중심으로 그린 도성도‚ 조선 시대 행정구역으로서 통치의 기본 단위였던 부(府)‚ 목(牧)‚ 군(郡)‚ 현(縣)을 대상으로 그린 군현지도‚ 군사적인 목적에 의해 군사시설이나 군사적 요충지를 그린 관방지도‚ 특수지도나 기타 지도들이 있다. 이중 본 유물과 같은 조선전도는 우리나라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그린 것으로‚ 우리 국토를 상징하는 지도로서‚ 한국을 대표하는 지도이다. 조선전도에는 선조들의 국토인식과 자연관이 반영되어 있음은 물론이고 지도의 완성을 가능하게 했던 과학지식의 수준‚ 지도제작의 기술‚ 예술적 표현능력 등이 반영되어 있다. 조선전도는 조선 초기부터 국가적 사업으로 제작되었는데‚ 국가를 경영하기 위해서는 국토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조선시대에 새로 개척된 북방지역에 대한 인식이 고양될 수 있었다. 그 결과 15세기 중엽에 정척과 양성지의 <동국지도(東國地圖)>가 탄생되었으나‚ 실물이 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조선방역지도(朝鮮方域之圖)>(국보 248호)가 남아 그 흔적을 전해준다. 또한 조선 전기 지리지의 집성편인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수록된 <동람도(東覽圖)>는 간략한 지도이나 민간에서 널리 애용한 점에 의의가 있다. 조선 후기에 들어 민간의 뛰어난 지도학자들이 지도 제작에 심혈을 기울였다. 18세기 중엽 정상기(鄭尙驥)는 한반도의 윤곽을 거의 실제와 가깝게 그려내‚ 조선전도의 분수령을 만들었다. 이와 같은 정교하고 사실적인 지도와는 달리 <동람도>와 같은 소략한 형태의 지도가 민간에서 제작 유포되었는데‚ 역사부도 및 크게 그려진 것을 제외하면 현대의 지도와 거의 비슷하며‚ 특히 강과 하천을 자세하게 표시하였다. 지도 오른편에는 깨알같은 글씨로‚ 각 지역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적혀 있다. 여행용 지도로서 폭넓게 이용되었다. 대체로 18세기 중엽이전에는 주로 <동람도> 계열의 지도가 유행했고‚ 그 이후 정상기가 북방 지역의 왜곡된 윤곽을 수정하고 훨씬 정교하게 제작한 <동국지도>가 알려지면서 같은 계열의 지도가 이후의 흐름을 주도하게 된다. 1861년에는 당시까지 축적된 지도학적 성과를 바탕으로 김정호의 <대동여지도>가 탄생되었다. <대동여지도>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제작된 조선저도의 완성편으로‚ 독창적인 지도학적 기법과 표현방식‚ 목판 인쇄를 통한 지도의 대중화‚ 예술적 감각과 정확하고 풍부한 내용의 지도의 전도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본 유물은 종이 위에 그려진 조선전도로‚ 시기는 일제강점기이다. 북쪽이 약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