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녹청자사발

추천0 조회수 76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녹청자사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청자란 철분이 약간 섞인 청자 태토에 2-3% 정도의 철분이 함유된 투명유약을 발라 구워낸 자기를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청자가 처음 만들어진 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있지만‚ 늦어도 10세기 후반에는 만들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918년 고려왕조가 성립되기는 하였지만‚ 당시는 후삼국이 병립 등 정치적으로는 한국 역사상 가장 큰 내란기였다. 그러나 이 시기 오대(五代)의 새로운 문물이 도래되고‚ 특히 후백제의 견훤은 중국 오월(吳越)과의 교류를 빈번히 하였으므로 월주요(越州窯)의 청자 기술이 도입될 수 있었다고 추측된다. 즉 그 동안 통일신라시대에 개발 성립 된 회유(灰釉)의 기술 바탕에 이러한 중국 청자의 기술이 도입됨으로써 적어도 10세기 후반에는 우리나라에서도 청자가 만들어지게 된 것이다. 본 유물은 녹청자사발인데‚ 녹청자란 청자보다 약간 질이 떨어지는 거친 태토(胎土)위에 회유계의 녹갈색 유약을 발라 구운 자기로서‚ 녹갈색 색상을 띄고 있으며 구운 후 기공(氣空)이 많이 생기는 등 유면이 고르지 못한 조질의 자기를 말한다. 이러한 녹청자는 처음에는 초기청자 발생 전에 선행해서 만들어지던 것으로‚ 그 시기를 9세기 후반에서 10세기 초로 보았지만‚ 최근에는 청자발생 후 지방에서 만들어진 조질청자로 그 시기를 11세기 후반으로 보고 있기도 하다. 본 유물은 11세기 경으로 보면 무방할 듯 하다. 녹청자는 고려시대 전기부터 시작하여 조선 후기까지 만들어졌다. 녹청자가 제작되던 곳으로는 해남 진산리와 인천 경서동을 들 수 있는데‚ 해남 진산리는 바닷가에 연한 낮은 구릉지대로‚ 이곳에 6km에 걸쳐 수많은 가마터가 널려 있으나‚ 조수에 의해 파괴가 심한 편이다. 조잡한 태토에 녹갈색‚ 암록색을 띠는 녹청자와 철회청자‚ 철초청자‚ 퇴화청자 및 흑갈유 도기류와 토기‚ 그리고 갑발류와 경사진 도지미가 있는 대규모의 가마터로 대접‚ 접시 광구병‚ 항아리‚ 대반‚ 주전자 등의 기형들이 주로 발견된다. 이와 같은 도편들은 전국에서도 주로 이곳에서만 발견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으며‚ 1983년 12월에 발견 인양된 3만여 점에 달하는 완도 어두리 해저출토의 도자기들을 제작한 곳으로 밝혀져 주목되었다. 고려시대 청자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를 제시하고 있는 가마터라 할 수 있다. 인천 서구 경서동 녹청자 가마터는 1965년부터 1966년 5월까지 4차에 걸쳐 발굴 조사한 유적으로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몇 안 되는 고려시대 청자 가마터 중의 하나로‚ 발굴 당시 가마는 바다와 바로 면한 자연 경사의 구릉지대에 북북서에서 남남동 방향으로 만들어진 칸이 없는 통가마였다. 잔존길는 귀중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유물은 녹청자사발로‚ 시기는 고려시대로 추정된다. 굽에서부터 완만한 곡선으로 올라간 기형인데‚ 전체적으로 반 이상이 파손되었다. 유색은 갈색을 띤 암록색을 띠고 있다. 이는 730cm‚ 봉통부의 405cm‚ 요실부위 120cm로 가마의 전체 경사는 대략 10도 정도이며‚ 완만하게 경사진 가마 바닥의 경사도에 따라 도지미 윗면이 수평이 되도록 유지하고 있다. 출토품의 모두가 문양이 없고‚ 유약을 긁어 장식을 시도한 흔적이 있어 눈길을 끌게 한다. 유약의 빛깔은 녹갈색과 암록색으로 불투명하고 광택이 없으며‚ 표면에 반점 같은 것이 있으나 이는 유약의 성분‚ 가마의 특수구조‚ 불의 온도 등의 영향에서 온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이곳의 구조양식과 같은 곳은 먼저 일본에서만 두 곳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이것을 일본의 독자적인 것으로 자부해오고 있었다. 그러나 이곳이 발굴됨으로써 앞으로의 연구에 따라서는 도요기술의 일본 유출경로를 밝히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