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화문소병

추천0 조회수 54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화문소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백자(白磁)란 백토(白土)로 그릇의 형태를 만들고 그 표면에 여러 가지 장식을 한 다음 투명한 백색 유약을 입혀 구워 낸 도자기를 말한다. 유색(釉色)은 유약의 성분‚ 가마 안의 조건 등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눈같이 흰 설백색(雪白色)‚ 우윳빛이 도는 유백색(乳白色)‚ 약간 파르스름한 색을 머금은 청백색(靑白色)‚ 푸른기가 짙은 청백색‚ 회백색(灰白色) 등으로 제작된 시기와 지역에 따라 색조의 차가 있다. 그러므로 백자의 백색은 한마디로 정의하기가 어려우나 대체로 보통 15세기 백자가 유백색 계통이며‚ 16세기가 되면 설백색‚ 17세기에는 회백색‚ 18-19세기에는 푸른 기가 약간 도는 청백색으로 볼 수 있다. 18세기 말경에 제작되기 시작하였던 청백색의 백자가 분원리 가마 특유의 유색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한 청초한 청백색의 백자유로 전개되어 주목된다. 백자는 그릇 표면에 문양을 나타낸 장식의장에 따라 순백자(純白磁)‚ 상감백자(象嵌白磁)‚ 청화백자(靑畵白磁)‚ 철화백자(鐵畵白磁)‚ 진사백자(辰砂白磁) 등으로 구분된다. 이밖에 철채(鐵彩)‚ 진사채(辰砂彩)‚ 청화채(靑畵彩)‚ 진사청화(辰砂靑畵) 등의 채색 기법으로 장식된 백자들도 있다. 순백자는 백자를 만드는 원료인 태토와 유약 이외에 다른 물질을 사용하지 않은 순수한 백색의 자기를 말하는 것이며 상감백자란 백자 표면에 문양을 음각하고 이 음각 부분에 자토(?土)를 메워 넣은 다음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은 뒤 시유(施釉)하여 번조한 것이다. 청화백자는 원‚ 명대 청화백자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백자로 산화 코발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안료로 문양을 그린 뒤 투명하고 파르스름한 백자 유약을 입혀 번조한 것이다. 청화백자는 백자표면에 청사(鐵砂)안료로 문양을 그린 백자로 문양은 갈색이나 흑갈색을 띤다. 진사백자는 산화동(酸化銅)으로 문양을 그린 것으로 문양은 붉은 색을 보인다. 그밖에 철채‚ 진사채‚ 청화채의 경우를 보면 백자에 전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철사안료‚ 산화동‚ 코발트 안료를 칠한 것으로써 조선 후기의 분원백자에서 이러한 기법들이 적극적으로 수용되어 한 작품에서 청채와 청화채 또는 진사채와 청화채 등 두 가지가 혼용되기도 하였다. 본 유물은 20세기 초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화문소병(花文小甁)이다. 유색(釉色)은 백색(白色)을 보이면 유면(釉面)은 매끄럽고 시유(施釉)상태는 좋은 편이다. 구연부 일부가 파손되었다. 기형을 살펴보면 구연(口緣)이 도톰하고 목은 길고 굵으며 직립(直立)하였다. 동체(胴體)는 하부에 중심이 있는 펑퍼짐한 형태를 보인다. 문양을 보면 동체 가득히 활짝 핀 동백꽃과 잎을 표현하였다. 꽃잎은 붉은색 안료를 사용하여 활짝 핀 꽃 두 송이를 그려 넣었다. 꽃잎 하나 하나를 따로 그렸으며 꽃술은 노랗다. 이파리는 초록색 안료를 사용하였으며 잎맥도 함께 나타내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