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흑유십각뚜껑항아리

추천0 조회수 27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흑유십각뚜껑항아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조선시대의 주류를 이루는 자기는 분청사기와 백자였다. 분청사기는 상감청자의 뒤를 이어 발생하여 16세기까지 유행한 것으로‚ 분장과 무늬를 나타내는 기법에 따라 7가지로 나뉜다. 표면을 선이나 면으로 판 후 백토나 자토(裏土)를 감입(嵌入)해서 무늬를 나타내는 상감기법‚ 무늬를 도장으로 찍고 백토분장(白土粉粧)을 한 후에 닦아내서 찍힌 무늬가 희게 나타나는 인화기법(印花技法)[도장무늬기법]‚ 분장 후 무늬 이외의 백토를 긁어내 태토의 어두운 색과 분장된 백색을 대비시켜 무늬를 표현하는 박지기법(剝地技法)‚ 분장 후 선으로 무늬를 새기는 조화기법(造花技法)‚ 분장 후 철분(鐵分)이 많은 안료로 무늬를 그리는 철화기법(鐵畵技法)‚ 귀얄로 분장만 하는 귀얄기법‚ 일곱째는 백토물에 담궈서 분장하는 덤벙기법이 있다. 백자는 대략 15세기 초부터 조금씩 만들어지다가‚ 이후 조선시대 전시기를 걸쳐 애용되었는데‚ 어떤 안료로 그릇 표면에 그림을 그렸느냐에 따라 그릇 표면에 다른 빛깔로 장식하지 않은 순백의 태토와 잡물이 섞이지 않는 순수한 석회유를 씌워 구운 순백자(純白磁)‚ 백자의 표면에 음각으로 무늬를 파고 여기에 자토(?土)를 넣어 구워서 검은색의 무늬를 나타낸 상감백자(象嵌白磁)‚ 백자에 무늬를 나타낼 때 코발트 안료인 회청(回靑)을 써서 그림을 그린 청화백자(靑畵白磁)‚ 철사로 무늬를 그려 다갈색으로 발색한 철화백자(鐵畵白磁)‚ 붉은 색으로 발색하는 산화동으로 그림을 그린 진사백자(辰砂白磁) 등으로 나누어진다. 그러나 조선시대에는 이와 함께 또한 흑유자(黑釉磁)도 많지는 않지만 꾸준히 제작되고 있었다. 흑유(黑釉)란‚ 유약색을 보아서도 알 수 있듯이 흑색의 도자기를 일컫는 것으로써 고려청자 발생 시기부터 제작되기 시작했는데‚ 고려시대의 흑유자기는 전라남도 고흥군 일대 일부 특수한 지역에서 약간 만들어 졌다. 조선시대에는 초기인 15‚ 16세기의 백자나 분청사기가 출토된 곳에서 흑유가 주로 발견된 경우가 많으며‚ 조선후기에는 제법 많이 만들어졌다. 유약은 다량의 철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구운 후 표면의 색이 흑색(黑色)‚ 흑갈색(黑褐色)‚ 황갈색(黃褐色)을 띤다. 계룡산 일대에서는 절에서 사용했었던 흑유다완(黑釉茶碗)이 발견되었고‚ 또한 제주도에서도 흑유의 편호(扁壺)가 발견되었다. 전라도 지방에서는 석회석을 사용한 검은 엿 색깔의 병이나 호 등의 파편들도 발견되었다. 특히 조선 후기 19세기에는 각형의 기형을 하고 있고‚ 유약의 색이 흑갈색이 나타나는 흑유가 제법 많이 제조되었다. 본 유물은 흑유십각뚜껑항아리로‚ 시기는 조선 후기 19세기로 추정된다. 목이 짧고‚ 몸체는 둥글며‚ 십면의 각을 하고 있다. 각형의 기형은 중국의 영향을 받아 18세기부터 우리나라 도자기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구연부에 유약이 발라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원래 뚜껑이 있는데‚ 소실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유약은 균일하게 시유되지 않아‚ 부분마다 두껍거나 얇게 시유되었으며‚ 유조는 황갈색을 띠고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