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토기장군

추천0 조회수 12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토기장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장군은 크기가 다양하며‚ 대개는 만드는 재질이나 크기에 의해 주병(酒甁)으로도 때로는 오줌장군으로도 사용되는 등 그 용도가 정해진다. 장군은 물·술·간장 등의 액체를 담아서 옮길 때 쓰는 그릇이다. 흙으로 만든 장군은 삼국시대 무덤에서부터 나오지만 정확한 용도는 알 수 없다. 다만‚ 최근의 나무판자를 원통모양으로 엮어서 오줌이나 똥 등의 비료를 옮기는 똥장군 혹은 오줌장군과 모양이 유사하다. 이 토기장군의 한쪽 면은 둥글고‚ 반대쪽 측면이 수평으로 되어 있어서 세워놓고 사용된 것 같다. 고려 초기(918-1100)의 토기는 크게 10세기를 중심으로 하는 영암 구림리 가마터에서 출토된 회청색(灰靑色)‚ 회흑색(灰黑色) 경질도기‚ 연질도기들과 11세기를 중심으로 하는 강진 용운리 가마터‚ 삼흥리 가마터에서 출토된 회청색 경질도기들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다. 고려 초기의 11세기 도기들은 10세기 후반부터 제작되기 시작한 고려청자의 등장으로 기형과 수법에 영향을 주고받는다. 비교적 큰 기형의 항아리‚ 편호 등은 도기로 제작되고‚ 작은 기형의 접시‚ 완‚ 잔‚ 합‚ 병 등은 청자로 제작되었다. 이 시기의 도기들로는 11세기를 대표하는 소위 해무리굽 청자완이 제작된 청자 가마터 주변에서 발견되는 도기 가마터에서 출토되는 질그릇 조각들을 들 수 있다. 전남 강진군 대구면 용운리 일대와 칠량면 삼흥리‚ 전북 부안군 보안면 우동리 일대의 도기 가마터들로 청자 가마터 5-6개소와 함께 도기 가마터 1개소도 함께 발견되고 있다. 고려 중기(1100-1250)는 고려 도자의 성숙기로 초기의 성립 시기를 바탕으로 발전된 시기였다. 11세기 후반부터 확립되기 시작한 고려의 귀족청자는 12세기 전반의 예종‚ 인종 연간에 이르러 완성을 보게 되며 고려의 문화는 황금기를 맞게 된다. 이러한 고려 중기의 정치‚ 사회적인 배경 속에 전성기에 달한 청자와 함께 도기들이 활발하게 제작되어 청자의 매병(梅甁)‚ 병(甁)‚ 표형병(瓢形甁)‚ 주전자‚ 정병(?甁) 등을 닮거나 도기 특유의 큰 항아리‚ 대합(?盒)‚ 독으로 제작되어 그 당시 생활에 요긴하게 쓰이기 시작한다. 고려 중기의 도기들이 매우 발달된 청자의 각종 형태를 본떠서 제작되고 있음은 이 시기 도기의 특징의 하나로 지적될 수 있으며‚ 현존하는 매병‚ 주전자 등이 이를 말해주고 있다. 기벽은 초기보다 두꺼워지고 있으며‚ 드물게 쇳소리가 날 정도의 경질도기들이 제작되었다. 그릇의 뒷면에 자연유(自然釉)가 씌워져 흑갈색(黑褐色)을 띠는 예도 드물게 있으며‚ 산화되어 광택을 잃은 예도 있다. 그릇 바닥은 대부분 편평하며 물레의 흔적이 다. 본 유물과 같은 장군은 물‚ 술‚ 간장 등의 액체를 담아서 옮길 때 사용되던 그릇으로 추정된다. 기형을 보면 구연은 크게 외반(?反)하였으며 목은 매우 짧아 거의 보이지 않는다. 몸통의 한쪽 면은 둥글고 ‚ 반대쪽 측면이 수평으로 되어 있어서 세워놓기 편하게 되어 있다. 몸통의 중앙에서 한쪽으로 약간 치우친 쪽에는 세로로 길게 한 줄의 음각선(陰刻線)이 새겨져 있다. 몸체에 남아 있다. 이처럼 고려 중기는 청자의 전성으로 인해 청자를 갖고 싶어하나 가질 수 없던 사람들의 요청에 따라 청자의 기형과 닮은 도기들이 적지 않게 제작되어 사용되었으며 금속기와 함께 같은 형태를 이루고 있다. 예를 들면 청자 정병과 청동 정병 그리고 도기 정병 등이 유사한 기형으로 만들어졌음을 볼 수 있다. 본 유물은 고려시대에 제작된 토기장군이다. 색조(色調)는 회갈색(灰褐色)을 보이며 전체적으로 고른 색조를 보이지 않고 얼룩덜룩하다. 구연(口緣)과 몸통 상단부에는 타서 그을린 자국이 남아있다. 기면(器面)의 굴곡이 심하다. 장군은 크기가 다양하며 대개는 만드는 재질이나 크기에 의해 주병(酒甁)으로도 때로는 오줌장군으로도 사용되는 등 그 용도가 정해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