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십각뚜껑항아리

추천0 조회수 48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십각뚜껑항아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보통 조선 도자(陶磁)라고 하면 백자라고 할 정도로 백자는 조선 도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자는 아무런 문양을 넣지 않은 소문백자(素文白磁)와 더불어 청화백자(靑畵白磁)‚ 진사백자(辰砂白磁)‚ 철화백자(鐵畵白磁) 등이 제작되었다. 청화백자는 원‚ 명대 청화백자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백자로 산화 코발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안료로 문양을 그린 귀 투명하고 파르스름한 백자 유약을 입혀 번조한 것이다. 진사백자는 산화동(酸化銅)으로 문양을 그린 것으로 문양은 붉은 색을 띤다. 철화백자는 백자 표면에 철사(鐵砂)안료로 문양을 그린 백자로 문양은 갈색이나 흑갈색을 띤다. 또한 이와 더불어 본 유물과 같은 흑유자(黑釉磁)도 많지는 않지만 꾸준히 제작되고 있었다. 흑유(黑釉)란‚ 유약색을 보아서도 알 수 있듯이 흑색의 도자기를 일컫는 것으로써 고려 청자 발생시기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제작이 계속되어 우리 나라 도자사 있어서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유약은 다량의 철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구운 후 표면의 색이 흑갈색(黑褐色)‚ 또는 암갈색(暗褐色)을 띤다. 긴 세월에 걸쳐 제작되어 왔지만 그 수는 적은 편이다. 고려시대의 흑유자기는 전라남도 고흥군 일대 일부 특수한 지역에서 약간 만들어 졌으나 조선시대에는 각지에서 흑유 도기가 만들어졌다. 조선 초기인 15‚ 6세기의 백자나 분청사기가 출토된 곳에서 흑유가 주로 발견된 경우가 많다. 계룡산 일대에서는 절에서 사용했었던 흑유다완(黑釉茶碗)이 발견되었고‚ 또한 제주도에서도 흑유의 편호(扁壺)가 발견되었다. 전라도 지방에서는 석회석을 사용한 검은 엿 색깔의 병이나 호 등의 파편들도 발견되었다. 특히 조선 후기에 와서 유약의 색이 암갈색이 나타나는 흑유가 많고 각병 등이 제조되었다. 흑유는 태토나 유약에 신화 제 2철을 첨가해 산화번조(酸化燔造) 또는 환원번조(還元燔造)한 것으로 흑‚ 갈색‚ 감색 등의 여러 가지 색을 보이고‚ 흑유 표면의 결정 상태에 따라 여러 가지 이름이 붙여졌다. 이 외에 지명(地名)‚ 문양 등에 따라 명명(命名)된 경우도 있었다. 일본에서는 천목유(?目釉)라고 불리는데 이것은 중국의 복건성이 흑유의 주산지인 그곳에서 수학한 일본 승려가 천목산(?目山)에서 흑유다완을 가지고 돌아왔던 것에서 천목다완(?目茶碗)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본 유물은 11면을 가진 조선시대 후기의 흑유항아리이다. 유색(釉色)은 녹갈색(綠褐色)을 보이며 전면에 시유(施釉)되어 있다. 구연(口緣)부와 기면(器面)에 유약이 벗겨져 있고 유약이 흘어내린 흔적도 보인다. 기형을 살펴보면 우선 이 항아리는 원래 뚜껑이 있었을 것을 것으로 추측되나 현재는 뚜껑이 없고 항아리만 남았다. 전체적으로 납작한 형태이다. 구연부에서 가파르게 어깨로 내려와 동체(胴體)는 11면을 이룬다. 이러한 角壺는 일본의 영향을 받아 조선 후기인 18세기 이후로 많이 제작되었다. 구연과 어깨가 만나는 지점‚ 어깨 끝 부분에는 5組씩의 양각선을 각각 돌리고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