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토기손잡이잔

추천0 조회수 32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토기손잡이잔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전체적으로 흑회색을 띠나 아가리로 부터 몸통 하단에 이르기까지 자연유가 산화되어 황회색을 띠는 경질토기이며‚ 정선된 바탕흙을 사용했다. 몸통 중앙이 불룩하여 안정감 있으며 바닥은 납작하나 약간 들려 있다. 몸통 한쪽에만 납작하게 만든 고리잡이 손잡이가 붙어 있고‚ 몸통 전반에 걸쳐 새김띠가 얕게 돌려져 있다. 고려 초기(918-1100)의 토기는 크게 10세기를 중심으로 하는 영암 구림리 가마터에서 출토된 회청색(灰靑色)‚ 회흑색(灰黑色) 경질도기‚ 연질도기들과 11세기를 중심으로 하는 강진 용운리 가마터‚ 삼흥리 가마터에서 출토된 회청색 경질도기들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다. 고려 초기의 11세기 도기들은 10세기 후반부터 제작되기 시작한 고려청자의 등장으로 기형과 수법에 영향을 주고받는다. 비교적 큰 기형의 항아리‚ 편호 등은 도기로 제작되고‚ 작은 기형의 접시‚ 완‚ 잔‚ 합‚ 병 등은 청자로 제작되었다. 이 시기의 도기들로는 11세기를 대표하는 소위 해무리굽 청자완이 제작된 청자 가마터 주변에서 발견되는 도기 가마터에서 출토되는 질그릇 조각들을 들 수 있다. 전남 강진군 대구면 용운리 일대와 칠량면 삼흥리‚ 전북 부안군 보안면 우동리 일대의 도기 가마터들로 청자 가마터 5-6개소와 함께 도기 가마터 1개소도 함께 발견되고 있다. 고려 중기(1100-1250)는 고려 도자의 성숙기로 초기의 성립 시기를 바탕으로 발전된 시기였다. 11세기 후반부터 확립되기 시작한 고려의 귀족청자는 12세기 전반의 예종‚ 인종 연간에 이르러 완성을 보게 되며 고려의 문화는 황금기를 맞게 된다. 이러한 고려 중기의 정치‚ 사회적인 배경 속에 전성기에 달한 청자와 함께 도기들이 활발하게 제작되어 청자의 매병(梅甁)‚ 병(甁)‚ 표형병(瓢形甁)‚ 주전자‚ 정병(?甁) 등을 닮거나 도기 특유의 큰 항아리‚ 대합(?盒)‚ 독으로 제작되어 그 당시 생활에 요긴하게 쓰이기 시작한다. 고려 중기의 도기들이 매우 발달된 청자의 각종 형태를 본떠서 제작되고 있음은 이 시기 도기의 특징의 하나로 지적될 수 있으며‚ 현존하는 매병‚ 주전자 등이 이를 말해주고 있다. 기벽은 초기보다 두꺼워지고 있으며‚ 드물게 쇳소리가 날 정도의 경질도기들이 제작되었다. 그릇의 뒷면에 자연유(自然釉)가 씌워져 흑갈색(黑褐色)을 띠는 예도 드물게 있으며‚ 산화되어 광택을 잃은 예도 있다. 그릇 바닥은 대부분 편평하며 물레의 흔적이 몸체에 남아 있다. 이처럼 고려 중기는 청자의 전성으로 인해 청자를 갖고 싶어하나 가질 수 없던 사람들의 요청에 따라 청자의 기형과 닮은 도기들이 적지 않게 제작되어 사용되었으며 돌렸다. 금속기와 함께 같은 형태를 이루고 있다. 예를 들면 청자 정병과 청동 정병 그리고 도기 정병 등이 유사한 기형으로 만들어졌음을 볼 수 있다. 본 유물은 고려시대에 제작된 잔이다. 색조(色調)는 진한 회흑색(회흑색)을 보이는데 구연(口緣)에서부터 몸통 하단부에 이르기까지 자연유가 산화되어 황회색(黃灰色)을 띠는 경질토기이다. 태토(胎土)는 정선된 흙을 사용하였다. 그 기형을 보면 오늘날의 잔과 매우 유사한데 구연은 넓고 몸통은 배가 약간 부른 원통형의 형태이며 바닥은 평저(平底)를 이루나 약간 들려 있다. 입지름과 바닥 지름이 거의 동일하여 매우 안정적인 느낌을 준다. 몸통 중앙에 각이 지고 넓적한 띠를 부착하여 손잡이를 만들었다. 몸통 전체에 걸쳐 음각선(陰刻線) 얕게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