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도기편호

추천0 조회수 2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도기편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고려도기의 특색으로는 기형에 있어서 다양하나 항아리와 병류가 주류를 이루고 있음과 대합류 등의 특이한 기형도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고‚ 문양은 타날기법에 의한 돗자리무늬‚ 파장선문이 보이나 주로 무문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유약은 자연적으로 씌워진 灰釉가 남아있는 예가 많다. 태토는 점토를 주로 하여 구운 온도에 따라 회청색의 경질도기와 회백색의 연질도기가 제작되었으며 주류는 회청색의 경질도기들이다. 굽은 평저를 이루는 것이 대부분으로 특색을 이루며‚ 가마터로는 영암과 강진 부안 등지에서 발견된 바 있으나 적으며‚ 대부분 구릉을 파고 들어간 터널형의 통가마로 瓦窯의 전통과 일치하고 있다. 고려초기의 도기는 통일신라의 도기의 전통을 그대로 이어받아 경질의 회청색도기들과 연질의 회흑‚ 회백색의 도기들이 제작되었다. 돌대장식이 있는 큰 항아리들과 사각병‚ 광구호‚ 소병‚ 대발들이 새로운 시대를 예고하듯 새롭게 만들어지고 있으며‚ 11세기 들어서서는 전형적인 광구병‚ 항아리들이 제작된다. 기벽도 얇아지고‚ 세련되어가며‚ 접시‚ 완‚ 합 등은 청자로 제작되어 구분되는 듯 하다. 주로 회청색의 경질도기가 주류를 이어 제작된다. 중기의 도기들은 청자의 발달과 함께 더욱 세련되며‚ 매병‚ 유병‚ 주전자‚ 발‚ 정병 등에 있어 청자‚ 청동기와 같은 기형이 제작된다. 회청색의 경질도기가 주류를 이루며 약간의 연질도기도 만들어진다. 후기의 도기들은 기벽이 두꺼워지고 몸체에 타날기법의 돗자리무늬가 남아 있는 매병‚ 장군‚ 호‚ 주병 등이 주류를 이루면서 만들어진다. 청자의 기형과 같은 참외형 주전자‚ 매병‚ 주병이 많이 만들어져 신분‚ 생활정도에 따른 사용의 필요성으로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토기 표면에 두들개를 이용해 돗자리무늬를 새겼다. 만들 때 안으로는 자갈돌 같은 받침을 대고 밖으로부터 노끈을 감거나 노끈무늬·격자무늬를 새긴 방망이로 두드려 표면에 노끈무늬·격자무늬를 나타나게 한 다음 같은 간격의 평행선을 둘러 돗자리 비슷한 삿자리무늬를 만든 토기를 종래 승석문(繩蓆文)토기라고 불렀다. 이것은 토기 표면을 두드려서 벽을 단단히 하는 동시에 무늬를 남긴 것인데‚ 대개 그 무늬는 둥근밑의 항아리에만 있고‚ 다른 기형에는 없다. 그리고 제작방법에 있어서는 물레의 사용흔적은 보이나 발로 차서 돌리는 정식 물레가 사용된 증거는 없고‚ 손으로 돌리는 간단한 돌림판(turntable)을 써서 아가리 등을 마무리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 토기에는 도질(陶質)이나 석기질과는 다른 와질토기(瓦質土器)라는 형식이 있는데‚ 와질토기 중에 쌍뿔손잡이가 달린 그릇 음각선들과 타날기법으로 새겨진 돗자리무늬가 전면에 시문되었다. 태토의 표면색은 짙은 회흑색이며 바닥은 평저이다. 에 한해서 삿무늬가 시문되어 있다. 이 토기는 종래의 적갈색토기에서 회색토기로‚ 즉 물기가 스며드는 토기에서 물기가 스며들지 않는 토기로 한 단계 발전한 토기로서 토기혁명이라고 보는 이도 있으며‚ 이 토기는 결국 신라토기의 기원이 된다. 편호는 몸체의 한쪽 면이나 양쪽 면이 눌려서 편평한 형태를 한 항아리를 말한다. 통일신라시대의 토기에서부터 나타나는 것으로 고려시대에 들어와서 청자 및 상감청자가 편호로 제작된 경우가 많다. 본 유물은 구부는 외반되어 말리고 넓으며 동체는 구형으로 둥그렇게 벌어진 회흑색의 경질 질그릇이다. 동체의 양쪽면을 편평하게 눌러 편호로 만들었다. 물체에는 물레 성형시에 회전 자국의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