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토기도장무늬입큰병

추천0 조회수 9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토기도장무늬입큰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통일신라시대의 도장무늬토기들은 특수한 목적에 사용된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 병은 온 몸통이 납작하고 목이 길며‚ 목에서 어깨까지를 3단의 횡선대로 구분하고 그 사이를 이중원문과 점선문의 도장무늬로 장식했다. 토기는 어느 지역에서나 인류 문명의 시작과 더불어 발전하여 왔으며‚ 기록으로 남아 있는 어느 나라의 역사보다 훨씬 더 오랜 기원을 지닌다. 최초의 토기는 아마도 인간이 불을 이용하면서 우연히 구워진 점토 덩어리를 보고서 착안 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우리 나라의 경우 먹거리가 가장 중요했던 선사시대에는 토기가 곡식의 저장과 관련되어 만들어졌으나‚ 이후 다양해진 사회의 요구를 수용하면서 기능과 용도가 확대되었다. 특히 인구가 증가하고 사회 계층이 분화되면서 토기는 단순한 그릇에서 신분과 부의 상징으로‚ 제사와 죽은 자의 영혼을 기리기 위한 도구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토기는 적어도 9-10세기경 새로운 도자기 유형인 청자가 한반도에서 처음 만들어지기 전까지 고대인들의 음식 문화와 생활 습관‚ 의식 세계를 담아내던 시대의 산물이었다. 삼국시대는 토기 문화 발달사에서 각 나라의 문화적‚ 지역적 특징이 가장 다양하게 나타나는 시기로‚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획기적인 진보를 이루었다. 이 후 7세기 중반경 한반도가 신라에 의해서 통일된 후 점차 경주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귀족 문화가 전개되면서 그릇이나 생활 용기에서도 많은 변화가 생기게 되었다. 당시에 제작된 그릇들은 재료에 따라 종류가 무척 다양했으며 이를 사용하는 계층이나 용도에도 구분이 있었던 것 같다. 고급 그릇이라고 할 수 있는 금속기와 칠기‚ 중국에서 수입한 도자기와 같은 소형 그릇 등은 왕실이나 고급 관료층‚ 사원 등에서 주로 사용되었고‚ 토기는 모든 사람들의 생활에서‚ 혹은 특수한 목적을 위한 용기로 활용되었다. 이러한 토기 중에서 특수 용기들은 대부분 무덤에 넣거나 의식에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던 듯 하다. 경주 일대의 낮은 구릉지대에 위치하고 있는 각종 무덤에서는 시신과 함께 부장된 토기들이 발견되고 있는데‚ 상당수의 토기들이 표면에 인화문(印花文) 장식을 보이고 있다. 또한 불교의 융성은 장례 문화에도 변화를 주어 화장(火葬)이 유행하게 됨에 따라 뼛가루를 담는 장골 용기인 골호(骨壺)가 발달하여 화려한 유물들을 남기고 있다. 이 밖에도 부장 용기의 또 다른 유형으로 사실성에 바탕을 둔 토우가 있다. 이들은 정교한 인체 표현을 기본으로 하고 있어 석굴암의 본존불에서 볼 수 있는 절정의 조각 솜씨를 연상시켜 준다. 통일신라의 생활용 토기들은 경주의 안압지(雁鴨池)나 황룡사지(皇아래로 가면서 크게 넓어지고 몸통 중앙에서 가장 크게 확장되었다. 다시 하부로 가면서 줄어들고 굽은 넓어서 안정감을 주고 있다. 문양은 목에 두 줄로 이중원문을 찍고 그 아래로 몸통에는 점열문을 잇대어 시문(施文)하였다. 그리고 중앙에 다시 한 줄의 이중원문을 잇대어 찍어서 기면을 장식하였다. 이 원문 아래로 두 줄의 음각선(陰刻線)을 새기고 그 아래로는 문양을 시문하지 않았다. 龍寺址)‚ 익산의 미륵사지(彌勒寺址)와 같은 대규모의 생활 유적에서 많이 확인되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토기들 중에는 사발‚ 접시‚ 완과 같은 생활에 꼭 필요한 그릇들이 많이 발견되고 있어 토기가 식생활 문화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었음을 알게 해 준다. 본 유물은 8세기 통일신라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병이다. 색조(色調)는 진한 회흑색(灰黑色)을 보인다. 기면(器面)이 매끄럽게 마무리되지 못하고 굴곡이 있는 편이다. 기형을 보면 입이 넓고 측사면이 사선을 이룬다. 목은 아래로 가면서 약간 줄다가 다시 확장되었다. 목 가운데에 돌대문을 둘러 마치 가운데를 꽉 묶고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어깨는 축 쳐졌으며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