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철화포도문항아리

추천0 조회수 108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철화포도문항아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백자란 백색의 태토 위에 투명유를 씌워서 구워낸 자기로‚ 조선시대 자기의 주류를 이룬다. 백자의 표면색은 우유빛과 같은 유백색(乳白色)‚ 눈과 같은 설백색(雪白色)‚ 약간 푸른기가 도는 청백색(靑白色) 등 다양한데‚ 대체로 15세기 백자가 유백색 계통이며‚ 16세기에는 설백색‚ 17세기에는 회백색‚ 18-19세기에는 푸른 기가 약간 도는 청백색으로 볼 수 있다. 백자는 고려 초기부터 청자와 함께 일부 만들어졌지만‚ 대부분 태토가 무른 연질(軟質)의 자기였고‚ 조선시대 들어 고려백자의 전통에 중국 명 백자의 영향이 더해지면서‚ 단단한 경질(硬質)의 백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경질 백자가 조선 초기 언제부터 제작되었는지 확실치 않다. 그러나 문헌기록을 통해 대략 15세기 초에는 제작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백자는 어떤 안료로 그릇 표면에 그림을 그렸느냐에 따라 순백자(純白磁)‚ 상감백자(象嵌白磁)‚ 청화백자(靑畵白磁)‚ 철화백자(鐵畵白磁)‚ 진사백자(辰砂白磁)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본 유물과 같은 철화백자는 철사(鐵砂)로 무늬를 그려 다갈색으로 발색한 백자이다. 그릇 위에 철사안료로 그림을 그린 예는 꽤 이른 시기부터라고 생각되나 확실한 예는 알 수 없으며‚ 고려시대 철화백자와 철화청자에서 뚜렷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조선시대 분청사기와 백자로 이어지면서 조선 말기까지 오래도록 널리 이용된다. 조선백자에 철사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분명하지 않으나 대개 청화안료가 사용되던 때를 전후한 15세기 중 후반 이후로 추정된다. 철화백자가 본격적으로 많이 제작된 것은‚ 임진란‚ 호란 이후 17세기에 들어와서 였다. 양란 이후의 경제적 어려움과 중국과의 불편한 관계 등으로 인해 청화 안료의 수입이 원만치 못하게 되면서 청화백자의 생산이 커다란 위기를 맞게 되는데‚ 이러한 청화백자를 대신하여 안료를 구하기 쉬운 철화백자가 제작되게 된 것이다. 철화백자의 유행은 17세기 내내 이어졌다. 이 당시 제작된 철화백자에는 해학이 넘치는 운룡문을 비롯해 사대부 화가의 솜씨로 여겨지는 시가 곁들여진 매주문 등이 시문되어 있어 독특한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 본 유물은 백자철화포도문항아리로‚ 시기는 조선 시대 17세기로 추정된다. 조선시대 항아리에는 입호(立壺)와 원호(圓壺)가 있는데‚ 입호는 매병형 항아리이고‚ 원호는 구연부가 밖으로 말려 있고‚ 그 지름이 전반적으로 굽의 지름보다 큰 항아리이다. 조선 전기의 원호는 통통한 타원형에 구연부가 밖으로 말린 형태가 많았고‚ 17세기에는 주판알 모양에 구연부가 더 날카롭게 벌어졌다. 18세기에는 구연부와 굽‚ 높이와 몸체 지름이 거에 동자가 매달려 노는 모습 등 민화적 풍취가 물씬 느껴지는 문양이 많이 보인다. 그러한 문양이 유행하게 되는 것은 당시 중국 원(元)나라에서 유행하였던 백동자도(百童子圖)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도 포도문은 사용되었고‚ 특히 본 유물과 같은 철화백자에 많이 보인다. 이러한 포도문은 장수‚ 다남(太男)‚ 다복(太福)‚ 다부(太富) 등을 상징한다. 의 같은 달항아리가 제작되었다. 19세기에는 달항아리를 위에서 눌러 놓은 듯하고 구연부가 직립해서 밖으로 기운 형태가 많았다. 본 유물은 원호이며‚ 구연부가 외반하여 말렸고‚ 몸체는 둥근 주판알과 같은 형태이다. 유색은 유백색이며‚ 기면에는 철화안료로 포도문이 그려져 있는데‚ 솜씨는 좀 떨어지는 편이다. 포도문은 대개 포도덩굴을 구성한 포도당초문 형식을 말한다. 중국을 비롯하여 우리나라에 그러한 문양이 전해진 것은 8세기 경으로 당(唐)나라 때 인도의 금공미술에서 영향을 받아 나타난 것이다. 그래서 통일신라시대에는 포도문이 와당‚ 문양전 석조물 등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고려시대 상감청자에는 12세기 전반경에 많이 보이는데 포도 덩굴 사이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