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토우

추천0 조회수 168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토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토우는 흙으로 만든 인물상이다. 그러나 넓은 의미에서는 사람의 형상뿐만 아니라 동물이나 생활용구 ·집 등을 본떠 만든 것을 총괄해서 일컫기도 한다. 고대에 토우가 만들어졌던 목적은 장난감으로서의 것도 있겠지만‚ 주로 주술적인 우상(偶像)으로 만들어진 것이 많다. 후에는 또 무덤 안에 바쳐진 죽은 자의 껴묻거리[副葬品]로도 만들어졌다. 한국은 신라의 토우가 대표적이며‚ 고려시대에는 그 예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조선시대에 오면 백자로 무덤에 인물 ·동물 ·생활용기 등을 만들어 명기(明器)라 하여 껴묻기한 것이 있다. 한국에서 토우라 하면 대개 신라의 그것을 가리킨다. 신라의 토우는 좁은 의미로는 독립된 상으로 표현된 인물상이나‚ 동물상을 가리킨다. 그러나 토우의 제작 목적의 가장 중요한 것이 주술적 신앙표현이라든지‚ 무덤의 껴묻기용품에 있다고 할 때 토우의 범위는 좀더 넓어진다. 즉 지금까지 이형토기(異形土器)라 부른 상형토기(象形土器)라든지‚ 토기의 장식에 쓰인 장식용의 작은 토우들이 그것인데‚ 그 출토 상태나 사용 목적을 볼 때 위의 것들도 넓은 의미에서는 토우의 범위에 들어갈 수 있다고 하고 있다. 독립된 인물상이나‚ 동물상으로서의 신라토우는 그 의미는 중국의 도용(陶俑)과 같은 것으로‚ 말탄 무사를 나타낸 기마상‚ 악기를 연주하거나 노래하는 인물상 등을 비롯하여 독특한 몸짓으로 감정을 나타내고 있는 10-20 cm의 작은 토우들이 알려져 있다. 특히 남자나 여자상 가운데에는 성기를 과장해서 표현한 경우가 눈에 띄는데‚ 이는 고대인들의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는 주술적 신앙을 표현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들 토우는 그 출토지나 출토 상태가 알려져 있지 않아 성격을 파악하기가 어려웠으나 1968년에 발굴된 통일신라시대 돌방무덤[石室古墳]에서‚ 토우가 돌방 네 구석에 놓여진 상태에서 발견되어 토우의 껴묻기 상태를 조금이나마 알 수 있었다. 이 고분은 이로 인하여 토우총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또 경주 시내 용강동과 황성동의 통일신라시대 돌방무덤에서 시립(侍立)하거나 택견의 자세를 취하고 있는 문관상(文官像)‚ 병사상(兵士像)‚ 여인상‚ 서역인상(西域人像)과 수레바퀴 등이 발견되어 당시의 인물상‚ 복식 연구‚ 동서 문화의 교류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굽다리접시[高杯] 뚜껑이나 항아리 어깨 부위 등에 장식으로 붙인 작은 토우들은 10cm를 넘지 않는 것들로서 인물 ·동물들을 주로 표현하고 있다. 미추왕릉 지구 계림로 30호분에서 출토된 항아리에 장식된 토우들은 임신한 여인이 가야금을 뜯는 모습‚ 남녀의 성행위 장면‚ 개구리를 물고 있는 뱀·새·오리·거북 등을 표현한선으로 코 부분 아래에 표시해서 정면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상체부분은 도식적인 방사선과 같은 몇 개의 선들로 옷 주름을 표현하였고‚ 하체 부분은 무릎까지의 길이만을 뭉툭하고 굵게 빚어 양 측면에 선을 하나씩 그려 넣어 무릎을 꿇고 있는 것처럼 표현하였다. 것이다. 이러한 신라의 장식토우들 중 인물상은 특히 임신하거나 유방이나 성기를 과장해서 표현하거나 또한 성애(?愛) 중인 남녀를 표현한 것이 많은데‚ 이들은 인간의 생식력과 자연의 생산력을 동일선상에서 사고하여 이러한 토우들로 장식한 토기에 종자나 그 외 소중한 것을 담거나 농경제의 때 사용하여 자연의 풍요를 빌었던 목적에서 만들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유물은 태토가 고운 정선된 점토로 빚은 토우이다. 머리부분은 몸의 크기에 비해 비교적 작게 표현되어 있는데 뿔이나 귀의 위치로 보이는 부분이 파손되어 떨어진 흔적만을 보이고 있다. 얼굴 부분은 눈‚ 코를 각각 한 쌍의 구멍으로 표현하고 있고‚ 입은 가는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