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폭포도

추천0 조회수 219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폭포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청강 김영기(1911∼2003)는 1911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중국 베이징(北京)의 보인대(輔仁?)에 유학 해 미술을 공부했으며 당대 중국 최고 화가인 제백석(齊白石ㆍ1863-1957)을 사사 했다. 해방 후 이화여대‚ 홍익대‚ 고려대‚ 성균관대 등에서 후학을 양성했고‚ 국내외에서 20여 차례의 개인전을 열었다. 1970년대에는 국적 있는 문화의 보존과 육성을 위해 전통 동양화를 `한국화`로 부르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김영기는 2001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21C‚ 현대 한국미술의 여정`전 에 100호 크기의 작품 `백두산의 새벽`을 출품하는 등 지난해 말까지 붓을 잡으며 예술혼을 불태웠다. 전시를 앞두고 두 차례 백두산을 다녀오기도 했는데‚ 그곳에 올라 바라본 새벽의 장관을 잊을 수 없어 화폭에 옮겼다고 감회를 피력한 바 있다. 선친은 영친왕의 서화 스승이자 <해금강 총석도>를 그린 작가인 해강(涇岡) 김규진(金圭鎭ㆍ1868-1933)이다. 김영기는 대륙풍의 화조화를 즐겨 그렸는데‚ 이는 중국에서 그림을 공부한 것과 깊은 관계가 있다. 말년에는 남해 다도해의 풍광을 소재로 청록조의 산수화를 발표했다. 저서로 {조선미술사} {신라문화와 경주고적} {동양미술사} {오창석} {중국 대륙 예술기행} 등 다수가 있으며‚ 번역서로 {마르코 폴로 대(?)여행기}가 있다. 민영익의 전각에 대한 논문도 냈으며‚ 현대작가의 도장을 수집ㆍ정리해 인보를 만들었다. 대표 작으로는 <월하의 행진> <계림의 가을> <장백산 폭포> 등이 꼽힌다. 한국미술협회 고문을 지냈고‚ 정부 은관문화훈장을 받기도 했다. 수묵담채의 기법으로 산골짜기에 흘러내리는 폭포를 표현한 것이다. 사물에 대한 섬세한 묘사 대신 윤곽을 간략히 그려 전체적으로 먹선의 효과를 강하게 살리고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