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만일사지출토자기편

추천0 조회수 11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만일사지출토자기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분청사기라는 이름은 1940년경 미술사학자인 고유섭(高裕燮)선생이 `분장회청사기(粉粧灰靑沙器)`라고 이름을 붙인 데서 비롯되었다. 분청사기는 분장회청사기의 약칭으로 조선시대 전기의 그릇을 대표하는 것 가운데 하나이다. 분청사기는 쇠퇴해 가는 고려 상감청자로부터 출발하여 15세기 전반기에는 다양한 여러 기법을 고안‚ 발전시켜 전성기를 이루었다. 그러나 15세기 후반에는 경기도 광주에 백자 중심의 관요(官窯)가 성립됨에 따라 점차 쇠퇴하다가 16세기 중엽 이후 백자에 흡수됨으로써 자연 소멸된다. 분청사기의 특징은 백토를 그릇 표면에 씌우는 백토분장기법(白土粉粧技法)과 분청사기에만 나타나는 독특한 무늬에 있다. 백토분장기법이란 원하는 그릇을 만든 다음에 백토로 표면을 장식하는 것으로 장식 기법에 따라서 상감기법(象嵌技法)‚ 인화기법(印花技法)‚ 박지기법(剝地技法)‚ 음각기법(陰刻技法)‚ 철화기법(鐵畵技法)‚ 귀얄기법‚ 덤벙기법 등으로 나뉜다. 상감기법이란 원하는 무늬를 그린 뒤 무늬 부분만을 긁어내고 이곳에 백토(白土)나 자토(?土)를 넣고 유약을 바른 뒤 구워내면 백토는 하얀 무늬로 자토는 까만 무늬로 나타난다. 인화기법은 도장을 찍어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에 주로 백토를 넣는 것이기 때문에 넓은 의미로 볼 때는 상감기법의 범주에 속하지만 나타내는 무늬의 효과는 일정한 도장을 반복해서 찍었기 때문에 추상적인 분위기를 유감없이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박지기법은 백토로 분장을 하고 원하는 무늬를 그린 뒤 무늬를 제외한 배경의 백토를 긁어내어 백색 무늬와 회색의 배경이 잘 조화된 기법을 말한다. 음각기법은 조화(彫花)기법이라고도 하는데 이 기법은 백토 분장을 한 후 원하는 무늬를 선으로 조각을 하면 백색 바탕에 회색의 무늬가 선으로 새겨지게 된다. 철화기법은 백토 분장을 한 후에 철분이 많이 포함된 안료를 사용하여 붓으로 무늬를 그리는 기법이다. 귀얄기법은 일종의 풀비와 유사한 귀얄에 백토를 묻혀 그릇표면에 바르는 기법이다. 덤벙분장기법은 담금기법이라고도 하는데 이 기법은 귀얄과 같은 붓 자국이 없어서 표면이 차분하다. 백토가 두껍게 씌워지면 표면이 거의 백자와 같이 되므로 이 기법의 그릇들은 분청사기 말기에 많이 제작되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상의 일곱 종류의 분장 기법 외에 분청사기의 또 다른 특징은 무늬이다. 무늬는 대범한 모란당초‚ 모란‚ 연꽃‚ 풀과 꽃‚ 버드나무‚ 물고기 같은 것이 있고 때로는 이들이 생략되거나 추상화되어 구김살 없는 표현을 보여 준다. 이와 같은 표현의 기량은 구애받지 않는 자유스러움‚ 천진성‚ 소박한 순수성 등의 제작 태도에 기文)하고 백상감하였다. 국화꽃 모양 하나 하나를 살리기보다는 겹쳐지기도 하면서 도장을 꾹꾹 눌러 찍고 그 위에 백토(白土)를 감입(嵌入)하여 백상감한 것이다. 바닥의 유색이 상감문양으로 인하여 거의 보이지 않는다. 인하며‚ 바로 이 점이 분청사기를 만든 우리 조상의 숨결이 살아 숨쉼을 느끼게 하는 요소이다. 본 유물은 인천 만일사지(萬日寺址)에서 출토된 분청사기 편 4점과 청자 편 1점이다. 조선시대의 유물이다. 분청사기 편은 대접이나 사발 등의 부분으로 추정되면 유색(釉色)은 회색(灰色)에 가깝다. 청자 편은 회청색(灰靑色)을 보인다. 분청사기 중 왼쪽에서 네 번째 파편은 구연(口緣)에 세 줄의 음각선(陰刻線)을 두르고 그 아래로 국화꽃 모양의 도장을 잇대어 찍어 문양을 나타내고 또 그 아래로 세 줄의 음각선을 둘렀다. 모두 백상감(白象嵌)하였다. 맨 오른쪽의 편은 저부(底部) 편으로써 바닥 면 가득히 국화문(菊花文)을 시문(施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