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범자문수막새

추천0 조회수 4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범자문수막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반원통형의 기와로 모골에서 성형된 원통 기와를 양분하여 제작하게 된다. 수키와는 지붕 바닥에 이어진 두 암키와 사이에 이어져 기왓등을 형성하게 되는데 기왓골을 이루는 암키와와 함께 많은 수량이 제작되고 있다. 수키와는 기와의 한쪽 지름이 다른 쪽 지름보다 약간 크거나 작은 토시모양의 무단식(無段式)과 기와의 한쪽 끝에 언강이라는 낮은 단이 있어서 미구가 내밀고 있는 유단식(有段式)의 두 형태로 구분되고 있는데 보통 이것을 토수기와와 미구기와로 부르고 있다. 그런데 유단식 수키와에는 미구 앞에서 빗물이 새는 것을 차단하는 절수홈이 파여 있기도 하고‚ 기와의 유동을 막기 위한 못구멍이 한쪽 끝에 뚫려 있는 경우도 있다. 암·수키와의 명칭은 음양의 상대적인 역할의 차이에서 비롯되었는데 예부터 수키와는 남와‚ 웅와‚ 부와 등으로 불리었다. 그런데 요즘에는 수키와를 그 형태에 따라 원와‚ 환와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고려 초기에는 통일신라의 전통과 고구려적인 요소를 지닌 막새형을 계승하여 제법 화려하고 세련된 기와를 생산하였다. 그런데 중기 이후부터는 취두나 용두와 같은 새로운 기와가 출현하게 되며 막새의 시문단위도 연꽃무늬나 당초무늬에서 벗어나 귀목무늬의 일색으로 변화하게 된다. 그리고 후기에 이르러서는 범자가 막새에 새겨지게 되며 암막새의 드림새가 밑으로 늘어져 커지게 되는 새로운 모습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암·수키와의 표면에 타날된 고판무늬도 날개깃 모양의 우상무늬가 중심이 되고 있는 점도 주요한 변화이다. 고려시대에는 숭불정책의 일환으로 전국 각지에 많은 사찰을 건립함에 따라 기와가 많이 제작되었는데‚ 범자문기와는 건축에 미친 불교의 영향을 보여준다. 범자문기와는 대몽항쟁이 끝난 이후부터 나타나는데‚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범자문기와의 제작은 원나라로부터 전해진 라마교의 영향 아래 시작된 것으로 짐작된다. 고려의 범자문기와를 보면 중심부에 작은 원이 있고 한 줄의 외곽선이 둘러져 있으며‚ 중심원과 외곽의 원호 사이에 몇 자의 범자가 새겨져 있다. 고려의 범자문기와에 비교적 자주 나타나는 범어의 내용으로는 `옴`‚ `옴마니반메훔`이 있다. 쓰여진 범자는 `옴`자로 사찰에 이용하였던 기와에 많이 시문되었다. 전언밀교에서 `옴`은 신성한 주어(呪語)로서 법신·보신·화신이나 귀명·공양·삼신의 의미를 갖는다. 라마 교도가 외우는 옴마니반메훔(Om Mani Pedma Hum.-sanskrit form)은 관세음보살의 보배스런 호칭이다. `옴마니반메훔`은 관세음보살의 위신력으로 모든 고통에서 벗어나 마침내 성불을 이루게 될 것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그것은 그런 능력을 만드는 호칭이며‚ 주문(呪文)이기 때문이다. 본 유물은 회색경질계의 수막새로 문양부의 중심에 범자문인 `옴`자가 새겨지고 있으며 문양부의 가장자리에는 돌기된 선이 돌려지고 있다. 주연부의 위치에는 회문(回文)이 돌아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주 유물의 잔존부분이 별로 많지 않다. 사찰에서 많이 쓰이던 범자문 수막새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