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상감모란문병

추천0 조회수 9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상감모란문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청자는 기법상 표면 장식 무늬를 어떤 방법으로 넣느냐에 따라 크게 소문청자(素文靑磁)와 상감청자(象嵌靑磁)로 분류된다. 먼저 소문청자는 표면이 비색(翡色) 일색으로 된 것을 말하지만 섬세한 도구를 사용하여 가는 선으로 무늬를 음각(陰刻)한 후에 유약을 씌워 구워 내면 이것은 곧 소문청자 중에서도 음각청자(陰刻靑磁)가 되며 반대로 나타내고자 하는 무늬를 그릇 표면보다 도드라지게 하기 위해 무늬의 주변을 깎아내면 양각청자(陽刻靑磁)가 된다. 또한 일정한 무늬의 틀을 만들어 눌러 찍으면 무늬가 역시 도드라져 보이는데 이것을 압출기법(押出技法)이라 한다. 그것이 청자일 때는 압출청자‚ 백자일 때는 압출백자라고 하며 넓게는 양각으로 분류된다. 압출무늬는 양각 기법보다 섬세하거나 예리하지 못하고 틀을 여러 번 쓰면 선이 무디게 된다. 상감청자는 상감기법으로 무늬를 새긴 청자를 말한다. 예컨대 새기고자 하는 무늬를 파내고 그 파낸 부위에 백토나 붉은 산화철을 많이 포함한 자토(?土)를 집어넣고 초벌구이를 하게 되면 백토는 하얀색으로 자토는 검은색으로 발색하여 이것을 흑백상감(黑白象嵌)이라고 하며 이 위에 유약을 바른다. 때로는 백자에 청자 태토를 넣어 상감하기도 하는데 이때는 무늬가 회색으로 발색하고 포도송이‚ 모란꽃 같은 것을 강조하기 위해 산화동(酸化銅) 즉 진사(辰砂)를 사용하여 붉은 색의 효과를 내기도 한다. 상감기법은 나전칠기(螺鈿漆器)나 동기(銅器)의 금은(金銀) 입사(入絲)기법과 기술상 상호간의 영향이 분명하지만 이와 같은 기법을 활용하여 성공시킨 예는 고려 상감청자가 단연 독보적이다. 상감기법은 조선시대 초기 백자에까지 영향을 미쳐 약 300여 년간 한국 도자사상 독특한 시문 기법으로 애용되었다. 상감기법이 사용되기 시작한 것을 청자기와가 제작되던 1157년 전후의 시기로써 의종연간(毅宗年間)이라고 생각된다. 청자의 유약이 더 맑고 투명해지면서 유면(釉面)에 빙렬(氷裂)이 생기고 기형의 예리함은 내재적인 정신으로 숨겨지고 표면은 은근한 양감이 있는 가운데 부드럽고 유려한 형태로 변모한다. 이때를 상감청자의 전성기라 할 수 있다. 곧 12세기 중엽으로부터 후반기에 들어서면서 고려 도자기는 상감청자 중심으로 급격하게 발전되어 양산되었으며 이러한 청자 상감 전성시대는 몽고군의 내침으로 고려의 국토가 짓밟히고 고려 정북 강화도로 들어가서 40년에 걸치는 저항을 시작하는 1220년대 무렵까지 약 80년간에 걸쳤던 시기이다. 본 유물은 13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상감청자모란문병이다. 유색(釉色)은 전형적인 비색(翡色) 보다는 약간 탁해진 느낌이 들지만 유약에 잡물이 없 원을 두르고 활짝 모란꽃을 넣었다. 백토로 면상감(面象嵌)하여 활짝 핀 모란을 강조하였다. 모란 주위로 사방 각 한 송이씩의 국화절지문(菊花折枝文)을 흑백상감하였다. 이러한 국화문은 도장을 찍어서 문양을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 고 유면(釉面)도 고른 편이다. 구연부(口緣部)는 파손되어 수리를 하였으며 동체(胴體)에는 일부 파열선이 보인다. 동체 가운데의 파손된 부분을 자기 편(片)을 붙여 복원하였다. 기형을 살펴보면 구연은 외반(?反)하여 나팔의 형태를 이루며 동체는 어깨가 좁고 아래로 내려가면서 점점 넓어져 거의 이등변삼각형의 형태를 보인다. 하부에서 약간 줄어들었다. 문양은 크게 종속 문양과 주 문양으로 나뉘어 살펴볼 수 있는데 먼저 종속문양을 살펴보면 구연부와 동체 하단에 한 줄씩 복연판문(複蓮瓣文)을 둘렀다. 흑백상감을 하였다. 구 문양은 세로로 길게 흑백상감하여 네 개로 구획을 하고 그 안에 다시 흑백상감으로 큰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