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귀면문와당

추천0 조회수 2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귀면문와당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귀면와는 괴수와 같은 귀신의 얼굴을 입체적으로 조각한 원두 방형의 기와이다. 주름살 투성이의 얼굴에는 부릅뜬 눈과 들창코‚ 그리고 길게 찢어진 입에는 혀가 나와 있고 송곳니가 날카롭게 뻗쳐 있으며 이마에는 굽은 뿔이 돋아 있는 무서운 형상이다. 귀면와는 용도에 따라 추녀가 네귀에 있는 팔작지붕의 마루 끝에 부착되는 마루용과 귀마루 끝에 잇대어 댄 방형의 사래용으로 구분되고 있다. 마루용은 그 하단의 중시부가 반원형의 홈으로 절단되어 기와의 등위에 얹히게 되어 있고 사래용은 그 하단이 편평하게 잘려 있다. 귀면와는 부착을 위해 귀면의 미간사이에 못을 박아 고정시킬 수 있는 못구멍이 뚫려 있는 것과 뒷면에 c자형의 고리가 달려 있어서 철사줄로 동여맬 수 있는 것 등 두가지 방법이 있다. 귀면와는 원래 수면(?面)을 무섭게 의장화한 것으로 악귀의 침입을 방지하려는 벽사( 邪)의 상징으로 목적 건물의 마루와 사래 끝에 장식한 것이다. 따라서 귀면(鬼面)은 인간을 희롱하고 해치는 잡귀신의 하나인 도깨비와 비교할 때 그 격이 다르며 의장성과 함께 특성도 서로 차이가 나고 있다. 또한 귀면와 가운데에는 머리는 화염보주를 배치하고 있거나 입에 보주를 물고 있는 형태가 다량 출토되어 용의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귀면와는 삼국시대에 약간씩 제작되어 사용되었으나‚ 성행한 시기는 통일신라시대로 종래의 고졸성에서 벗어나 사실적 형식미의 완성을 보게 된다. 또한 이 시기에는 유약을 칠한 녹유 귀면와가 많이 제작되고 있는데 그 주연부와 측면에도 여러 가지의 문양을 배치하고 있다. 본 유물은 회청색연질계의 귀면와로 현재 귀면이 그려진 문양부와 약간 튀어나오도록 만들어진 주연부 일부분만 남아 있다. 문양부에는 귀목문처럼 튀어나온 눈이 남아 있으며‚ 그 아래로 돌기된 가는 선이 도식화된 듯한 형태의 입을 그리고 있다. 입안의 치아 역시 사각의 직렬로 이루어진 형태가 단순 도식화 된 모습을 보이고 있어 위 귀면와는 고려 이후 시기의 유물인 듯 싶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