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토기와

추천0 조회수 1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토기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기와는 지붕을 덮는데 쓰이는 건축부재로서 우리나라에서는 낙랑시대(樂?時代)때 건물에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많은 종류의 기와의 개발과 막새에 새겨진 다채로운 무늬의 채용은 통일신라시대에 이룩되었다. 우리나라의 기와는 지붕에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그 모양이나 명칭이 다르고 각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변천되어 각기 다른 특색을 보이고 있는데‚ 특히 막새에 보이는 여러가지 무늬들은 단순한 미적 대상으로 장식된 것이 아니라‚ 평안과 번영을 소망하는 당시 사람들의 정신적 이상을 반영한 것으로‚ 와공(瓦工)들이 고심하여 창안한 독자적인 의장이라고 할 수 있다. 기와의 재료에 따른 분류로는 찰흙을 반죽하여 구워 만든 토기와‚ 시멘트와 모래를 섞어 만든 시멘트기와‚ 금속판으로 가공 성형한 금속기와가 있다. 토기와에는 무유와(無釉瓦)와 시유와(施釉瓦)가 있는데‚ 시유와는 고온에서 완전히 구워지기 전에 식염을 뿌려 빨갛게 구운 것으로 흡수율(吸水率)이 적다. 기와의 형태 중 가장 기본적인 것은 암키와(평기와)와 수키와(둥근기와)인데‚ 이 기와를 합쳐서 하나로 만든 것도 있다. 일반적으로 지붕은 판자 위에 진흙을 이겨 얇게 편 다음‚ 위.아래로 암키와를 걸치고 좌우의 이음매에 수키와를 덮는다. 그리고 처마 위에 비를 막기 위해 막새를 붙이는데 암키와 끝의 것을 암막새‚ 수키와 끝의 것을 수막새라고 한다. 이것은 찰흙을 반죽하여 구운 토기와로서 옅은 적색을 띠고 있으며‚ 목조건축 지붕의 기왓골 끝에 사용되었던 암키와의 암막새이다. 암막새 끝의 꺾어진 부분 표면에는 거북선이 양각(陽刻)되어 있고‚ 끝부분에서 3분의 2가 청색 유약이 입혀져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