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황현필서간

추천0 조회수 62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황현필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조선 말기의 우국지사?시인?문장가로 자는 운경(雲卿)‚ 호는 매천(梅泉)‚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전남 광양 출신이다. 강위(?瑋)?이건창(李建昌)?김택영(金澤榮) 등과 깊이 교유하였으며‚ 1883년 보거과(保擧科)에 응시하여 초시 초장에서 첫째로 뽑혔으나 관계(官界)에 뜻을 잃고 귀향하였다. 구례의 작은 서재를 마련에서 독서?시문(詩文) 짓기?역사 연구?경세학 공부에 열중하던 중 1910년 8월 일제에 의해 강제로 나라를 빼앗기자 통분해 절명시 4수를 남기고 음독자결하였다. 저서로는 "매천집(梅泉集)"?"매천시집(梅泉詩集)"?"매천야록(梅泉野錄)"?"오하기문(梧下記聞)"?"동비기략(東匪紀略)" 등이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황현의 서신이다. 그 사이 몸은 어떠하신지 시생의 마감(磨勘)이 이 일의 성사여부에 달렸는지 어제 사방으로 구했지만 결국 입을 열 곳이 없는데 공이 말해주지 않으면 장차 어디로 떠날 것인지 모르겠다 하였다. 또한 어른께서 관여한 일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인지 기약하기 어려우며 다급한 만큼 소관한 일을 우리들에게 보내주어 중씨로 하여금 상의케 해서 날짜를 맞춰 낭패를 면하게 해달라고 적고 있다. □來 □體若何 伏溯伏溯 就某條 侍生之磨勘 去留□於此物之成否 昨日四求辦備 而竟無開口處 公誦之緊歇?舍 將何以則去耶 且吾丈□關事 其成難必 雖或可必至於減入一?之□ 萬無其理 蔽一言 賤慮則破意爲? 而所關事 托送於吾輩 使之與令仲氏商議 而某物期於日間推用 免此狼貝 千萬千萬 其艱?□ 不能盡達 下諒處之也 不備 上 ? 再拜上 <기타참조>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참고문헌>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한국인물대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