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이돈영필 서간

추천0 조회수 220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돈영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이돈영(李敦榮 1801~1884)은 조선 말기의 문신으로 이돈우(李敦宇)로 불리며‚ 돈영(敦榮)은 초명이다. 자는 윤약(允若)?윤공(允?)‚ 호는 신게(莘憩)‚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1827년 증광별시에 병과로 급제‚ 이듬해 홍문록에 올랐으며 홍문관제학(弘文館提學)이 되었다. 1864년 좌참찬?판의금부사?호조판서 등을 지내고‚ 실록찬수당상으로 ≪철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1874년 원자보양관(元子輔養官)으로 세자를 보필하고‚ 1882년 대제학이 되어 회권(會圈)에 참여하였다. 일생을 관직에서 보냈지만‚ 청백한 것을 좋아해 연꽃을 사랑한다는 ?연설보(蓮說補)?를 지어 자신의 뜻을 펼쳤다. 저서로는 ≪갑고(甲藁)≫ 6권이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돈영이 집안 어른에게 보낸 답장서신이다. 작년 말에 편지를 받았는데 벌써 봄이 되었으며 이웃에 계신 분들은 잘 계시는지 안부를 물었다. 자신은 아픈 후 걱정이 여전하고 임금께서 마음을 써 주신 부분에 흠앙함을 비할 데가 없으니 우리 집안 사람은 잘 이해해야 할 것이라고 적고 있다. 歲前書承慰阻? 居已發春 靜履增休 宗記病後憂?一? 舊歲見? 靖孝公追? 五百年未遑之典 我聖上推?之舊德 懋?敍之新化 誠欽仰榮感 無以爲喩 聞自宗中有分定者 須諒處也 不宣 令抱來此 過歲可喜 而科行則可念 乙丑 正月 卄四日 宗記 敦榮 頓 <기타참조>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참고문헌>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한국인물대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