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이간필 서간

추천0 조회수 5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간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조선왕실의 종친으로 낭원군(朗原君)이라고도 불린다. 자는 화숙(和叔)‚ 호는 최락당(最樂堂)‚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1676(숙종2)년에 사은사(謝?使)‚ 1686년에 동지겸진주사(冬至兼陳?使)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 전서와 예서를 잘 썼으며‚ ?보월사중수비(寶月寺重修碑)? ??송광사사원사적비(松廣寺嗣院事蹟碑)? ??백련암사적비(白蓮庵事蹟碑)???보현사풍담대사비(普賢寺楓潭?師碑)? 등이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간이 웃어른에게 보낸 서찰이다. 일전에 보내준 문서는 거의 마쳤으며 추위가 시작된 요즘 잘 지내시는지 안주를 묻고 있다. 그러면서 본인은 돌아가기도 어렵고 추운 집에서 겨울 나기도 어려운 가운데 숙식이 모두 불안하니‚ 호소한 바를 간곡히 찾아서 먼 곳의 한생(寒生)으로 하여금 낭패의 어려움에서 벗어나게 해달라고 간곡히 부탁하고 있다. 日前覆帖 業已登照 不審薄寒 字履更何? 區區馳? 從 因山前決歸爲難 冷邸過冬亦難 兩難?中 宿食俱不安 自歎?何 就此去李生?雨 卽廣州士人 而貞陵?故李參判族叔也 有所幹於治下 冒寒?進望須 到此延款 曲採所訴 使遠地寒生 得免狼狽之弊?何 此人於從有雅分故 ?是縷縷毋泛 ?施以生光色焉 餘適擾不太申 伏?照亮 謹候狀 甲辰 陽月 十一日 從 侃 頓 <기타참조>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참고문헌>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한국인물대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