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이철영에게 보내는 서간

추천0 조회수 4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철영에게 보내는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이정영은 조선시대 문신으로 자는 자수(子修)‚ 호는 서곡(西谷)‚ 본관은 전주이다. 병자호란(丙子胡亂) 후 세자(世子)가 볼모로 심양(瀋陽)에 갈 때 사서(司書)로 시종했다가 귀국하여 정언(正言)?수찬(修撰)?응교(應敎)를 역임하였다. 1647년 산릉도감 당상(山陵都監堂上)이 되고‚ 이듬해 이조판서에 올랐으며‚ 판돈령부사(判敦寧府事)가 되어 1685년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글씨를 잘 써서 많은 비문 글씨를 남기고 있는데 특히 전서(篆書)?주서(?書)를 잘 썼다. 그의 집안은 대대로 글씨를 잘 썼는데‚ 명필 원교(圓嶠) 이광사(李匡師)는 그의 증손자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편지는 사촌형 철영(哲英)에게 보낸 것인데‚ 내용 중 종조카 우성(羽成)의 글씨를 평한 부분이 있어 옮겨본다. … 이 아이의 글씨를 보니‚ 후생(後生)이 가외(可畏)로군요. 한석봉 천자문도 필법은 괜찮습니다. 그러나 그것을 속되다고 생각하시면‚ 이 난정첩(蘭亭帖)으로 글씨를 연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것은 좋은 책으로 오랫동안 보관했던 것인데‚ 형님이 열심히 가르치시는 모습에 감동하여 보내드립니다.(見此兒筆法 後生可畏 韓石峯千字爲法得矣 然若以此爲俗 則此蘭亭習書爲可 此是?本藏之久矣 爲兄主勤敎所動送之耳)… <기타참조> "강운 명품선"‚ 순천대박물관‚ 2001.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참고문헌> "강운 명품선"‚ 순천대박물관‚ 2001.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한국인물대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