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이정현필 서간

추천0 조회수 13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정현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이정현(李正鉉 1802~?)의 본관은 용인(龍仁)으로 아버지는 이재원(李在元)이다. 1856(철종7)년 별시(別試) 병과(丙科)에 급제하여 1859년 성균관 대사성‚ 1861년 이조참의에 임명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정현이 상관에게 올린 글이다. 열심히 일하던 중 문득 보내주신 소식을 듣게 되었다며‚ 낮이면 날씨가 더운데 건강히 잘 지내는지 물은 후 정 아무개 친구와 작별할 때 한 얘기는 내 일처럼 생각하고 힘을 썼으며‚ 사람이 하는 일을 어찌 미리 예측할 수 있겠냐고 적고 있다. 別懷政勤 卽便承拜?狀 慰敵良晤 況審午炎 侍餘起居 連護安毖 遠庸?賀 榮掃之行 間已了當 更無餘擾耶 廳注蒙點 ?自芝室入聞 而鄭友臨別時 以此縷縷 若自己事 故此果宣力矣 在座下 榮則榮矣 記下 長?困睡 難以支吾 ?事?事 槐院分館事 日前?臣筵稟 非久當磨勘 方圖極力周章 而在人之事 何可預料也 ?投彩箱 可感遠? 適對客不得長語 餘在後便詳報 不備 謝上 庚子六月初吉 記下 李正鉉 拜 <기타참조>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참고문헌>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