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윤광안필 서간

추천0 조회수 3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윤광안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윤광안(尹光顔 1757~1815)의 자는 복초(復初)‚ 호는 반호(盤湖)‚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1786(정조10)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교리를 거쳐 대사간?대사성?충청도관찰사?이조참의?부호군 등을 지내고 경상도관찰사가 되었다. 그런데 그의 재임시에 주자(朱子)와 송시열(宋時烈)을 배향한 영양 운곡서원(雲谷書院)의 사당을 헐고‚ 영정을 철거한 일이 있었는데‚ 이것이 문제가 되어 1808년 암행어사 이우재(李愚在)의 탄핵을 받아 사문난적(斯文亂賊)이라는 죄명으로 함경도 무산부에 유배되었다. 뒤에 돌아와서 관직이 판서에 이르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윤광안이 글씨를 써 달라는 부탁을 받고 편액 글씨와 함께 보낸 편지이다. 대개 고명한 업에 대한 얘기를 들어보니 보통 세 번을 변하는데 처음엔 과거공부에 종사하고‚ 중간에는 문예에 마음을 쓰며‚ 마침내 개연히 구도에 뜻을 두고 산수 좋은 곳에 집을 얽어 지낸다 하니 그 뜻은 진실로 아름답고 기이한 일이라며 강조했다. 향음서장서(鄕飮序藏書)는 말도 풍부하고 뜻도 깊어 여러 번 되풀이해 읽노라면 마치 구슬을 꿴 것 같다면서‚ 재각 편액을 써달라 부탁하는데 본래 글씨를 잘 못쓰지만 백련서사(白蓮書社)라는 네 글자를 써서 보내니 불법을 오염시키지나 않을까 염려된다고 적고 있다. 未見而先之以書 此古人事也 而足下行之 因得以?窺雅志之所存 感愧何可以望也 盖覽來諭 高明之業 凡三變 ?也從事科臼 中焉留心文藝 而卒乃慨然志於求道 又嫌塵紛俗冗之攪累我靈源 而欲誅茅結社於山水幽?之區 以講此事 其意誠美矣 其事誠套矣 雖?桓刺史之風? 敢不樂爲之周旋 而事乃乖刺 略報於抵 貴宗漆原書 可以聞知也 光顔 兩載劇地 衰病侵尋 生民疾? 百未一? 今將告歸 愧負實渙 不聽以脫濕爲幸也 鄕飮序 藏書銘 辭富而旨醇 披讀屢回?得?璣 見索齋扁 素拙於書 至於六偉 尤所不? 勤意難孤 以白蓮書社四字 强拙寫呈 殊有汚佛頭之歎也 餘撓甚略謝 不備 伏? 尊照 戊辰元月卄二日 尹光顔 拜 扁字撓 未送付 後當呈去耳 <기타참조>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참고문헌>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한국인물대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