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심육필 서간

추천0 조회수 3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심육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심육(沈? ? ~ 1753)은 1724년에 왕자 휘(諱)를 봉하여 경의군(敬義君)으로 삼았을 때‚ 왕자사부(?子師傅)가 되었다. 1729년 지평(持平)‚ 1735년 승지(承旨)‚ 1747년 대사헌이 되었다. 이 서간은 심육이 부솔(副?)이 되었던 1725년 10월에 쓴 것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심육이 부솔(副?.)이 되었던 1725년 10월에 친구에게 보낸 답장서신이다. 해를 넘기면서 문득 서신을 받았으며 날씨가 추워지는데 몸 건강히 잘 지내는지 본인은 늙은 몸으로 기운이 매우 쇠약하고 걱정거리가 많다고 전하며‚ 울산의 일가들이 중도에 돌아와 버려 매우 낭패가 심했겠다며 걱정하였다. 經歲阻仰 忽拜手誨 披審?寒 僉起居增迪 區區豈勝瞻慰 弟老人氣候 衰邁益甚 私?憂?何喩 年來無湖右行 無由際晤 第有?念而已 普?旣是 墳庵僧 豈待勤敎而款待耶 蔚山宗人 自中途徑歸云 ?其狼狽甚矣 自餘眩甚菫布不備 伏?下照 謹謝上狀 乙巳十月五日 弟 ? <기타참조>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참고문헌>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한국인물대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