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신응조필 서간

추천0 조회수 100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신응조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신응조(申應朝 1804~1899)의 자는 유안(幼安)‚ 호는 계전(桂田)?구암(苟菴)‚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홍직필(?直弼)의 문인이다. 1882(고종19)년 7월 판부사(判府事)로 있으면서 왜양일체(倭?一體)의 처지에 서서 사학(邪學)과 양술(?術)을 배격하였는데‚ 특히 인천개항은 삼남과 서북의 이권을 침탈당할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군사?지리상의 요지이기 때문에 최대의 우려가 있다는 것을 강조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서양세력을 배척하고 수교 및 통상을 제한하려는 척사를 주장하였다. 저서로는 "구암집(苟菴集)"이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신응조는 1866년에 이조참판?대사헌을 지낸 적이 있는데 이 서간은 그 무렵의 것으로 형님편에 보낸 안부편지이다. 이전에 안부를 물었어야 했는데 공무에 바쁘신 몸은 건강한지‚ 보리농사는 풍년이 점쳐지는데 그 지역은 어떠한지 등을 물었다. 자신은 목석같이 못난 사람으로 멍하니 쳐다만 보고 있으며‚ 두 형이 찾아가 뵌다 하기에 대략 적어 보낸다 하였다. 稽? 前此上候 計已關照 卽日?風 爲政體事萬安 麥事已占康年 而近日似?乾 未知貴境何?也 孤子 木石之頑 尙此?視禽? ?有無生之願耳 聞二哥作覲行 略此付候 不次上問 丙寅 三月 二十五日 孤子 申應朝 再拜 <기타참조>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참고문헌>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한국인물대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