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송병순필 서간

추천0 조회수 5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송병순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한말의 우국지사로 자는 동옥(東?)‚ 호는 심석재(心石齋)‚ 본관은 은진(??)이다. 우암 송시열(宋時烈)의 9세손으로‚ 을사조약 체결에 반대하며 순국한 송병선(宋秉璿)의 동생이다. 1888(고종25)년 의금부도사에 천거되었으나‚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다. 1905년 을사조약 직후에 형이 먼저 자결하였으며‚ 그는 1910년에 자결하려다 미수에 그쳤다. 1912년 일제가 경학원(經學院) 강사에 임명하였으나 거절하고‚ 유서를 남긴 뒤 음독자결하였다. 저서로는 15권의 문집과 "독서만집(讀書漫錄)"‚ "학문삼요(學問三要)"‚ "사례축식(四禮祝式)"‚ "용학보의(庸學補疑)"‚ "주서선류(朱書選類)" 등이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송병순의 답장서신이다. 뜻밖에 편지를 주신 것에 감사드리며 초여름 날씨에 모두 잘 계시는지 안부를 물었다. 연마한 학문세계가 남들이 따르기 어려울 정도라 하니 흠송을 드리며‚ 자신은 사람이 못나 보통사람을 못 면하고 있다고 겸손히 말하며 거리가 멀어 가까이 하지 못한 것을 아쉬워하며 끝맺고 있다. 瞻誦歲渙一歲 意??拜僉?狀 感?罔喩 拜審肇? 諸君子起居?重 講?資益有人所難及之風 遠不勝欽頌 秉? 仍苔?劣 將不免鄕人之歸 愧?何述 所示講規 實盛擧也 而遠無由合席周旋 是可?也 ?道?人之示 固非愚陋所敢承當也 僉賢之不諒人只 ?過矣 還覺背汗顔? 餘適被座 煩 不能盡備 謹謝狀 庚子 四月 旬一日 記下 宋秉? 拜 伴間之? 良庸太感 <封 皮> 輔仁? 僉座下 回敬 ?山謹復 <기타참조>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참고문헌>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한국인물대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