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김홍집필 서간

추천0 조회수 54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김홍집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조선 말기의 정치가로 자는 경능(景能)‚ 호는 도원(道園)?이정학재(以政學齋)‚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1880(고종17)년 일본이 요구한 인천 개항‚ 공사 주차(公使駐箚)와 해관 세칙(涇關稅則) 등의 현안문제를 타결짓기 위한 제2차 수신사(修信使)로 임명되어 일본에 다녀왔다. 그의 수신사일기(修信使日記)는 1880년 5월 21일부터 8월 28일까지 수신사로 파견되었던 기간의 복명서(復命書) 및 미국과의 통상을 권유하는 일본의 문서‚ 황준헌(黃遵憲)의 "조선책략(朝鮮策略)" 등을 수록한 것으로‚ 당시의 한?일 관계‚ 일본의 상황‚ 우리나라의 정치사 등을 밝히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유고집으로 "김총리유고(金總理遺稿)"가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김홍집은 1885년 초 좌의정 겸 외무독판(?務督辦)의 중직을 맡아 일본과 한성조약을 체결하였는데‚ 이 서간은 그 해 말에 김홍집이 관직에 있는 친구에게 보낸 안부서신이다. 한 해가 저물어가고 날씨는 쌀쌀한데 벼슬생활은 잘 하고 있는지 묻고‚ 보내준 책은 한가할 때 읽을 만하며 공직수행에 항상 건강하길 바란다고 적고 있다. 歲暮?寒 正難懷人 朶雲遠墜 不勝狂喜 就謹審雪? 令政體神相曼旺 災黎接濟 太費籌辦 佇見?靑之? 區區欣慰 允符取頌 弟對梅手卷 是爲閑中?受法 亦堪自?耳 餘?不備 敬祈爲民保重 乙酉 十二月 十九日 弟 金弘集 拜謝 <기타참조>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참고문헌>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한국인물대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