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기우기필 서간

추천0 조회수 7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기우기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기정진(套正鎭 1798~1879)의 손자이며‚ 기우만(套宇萬 1846~1916)의 큰 형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기우기가 부모에게 올린 답서이다. 지난날 길에서 만나 뵐 때 미처 많은 사정 얘기를 못했다 하면서 안부를 물었다. 그리고 성공과 실패는 비록 사람 힘으로 되는 것은 아니지만‚ 기회를 잡고 계획을 세우는 것은 곧 사람 하기에 달려있는 것이라고 적고 있다. 謹拜上答書 向日路上拜別 未免?遽 宿懷未展 新?又減 瞻望高? ?慕何極 近日日侯晴凉 可人 有若?佑行? ??抵完當在今日 體侯幸不以跋?有損耶 試圍周旋 必太關念 伏溯且祝 不敢少懈 小生爲叔也觀光 勢將赴左 而右圍愚納之道 今送仲也 ?呈周旋凡節 幸左右有?故也 畢境成敗 雖非人力所及而審機做謀 不可曰不在於人 ?諒處伏望 餘在舍弟口達 不備上 丙寅 八月 十四日 小生 套宇? 再拜 <기타참조>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참고문헌>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