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이재곤필 서간

추천0 조회수 2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재곤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이재곤(李載崑 1859~?)의 자(字)는 사옥(士?)‚ 호는 동원(東園)‚ 본관(本貫)은 전주(全州)이다. 1880(고종17)년에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에 급제하고‚ 1917년에 순종을 모시고 일본 동경행에 호종(扈從)하였다. 고종이 붕어하자 장례의 고문으로서 휘책문제술원(謚冊文製述員)의 일을 맡았고‚ 1926년 순종이 붕어하자 역시 익책문제술원으로서 묘호(廟號)를 순종(純宗)이라고 전홍문관 학사 이름으로 지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춘천(春川) 창리(倉里)에 살던 나참봉(羅參?) 댁에 보낸 간찰이다. 족질(族?)이 거듭 후설직(喉舌職)을 맡은 것과 족보 간행을 이제 막 시작하려 한다는 소식 및 9월 13일에 족질 재곤(載崑)에게 일러줄 일 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