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이문영필 서간

추천0 조회수 5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문영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1867(고종4)년 전라우도 수군절도사(全羅右道水軍節度)‚ 1870년 전라도 병마절도사(全羅道兵馬節度使)를 역임하였고‚ 풍덕부사(?德府使)를 지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문영이 일가 되는 분에게 보낸 서신으로 족보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먼저 여러 일가들의 안부를 두루 물으면서 종무(宗務)를 거의 마치고 시조(?祖) 한림부원군이 터를 잡아 자손에게 물려준 것은 영원히 잊지 못할 일이라 기뻐하였다. 이어 황조(皇朝) 명족(明族) 구자(九子)의 예를 들면서 선조의 정신은 곧 자손의 정신이니 자손들이 받들지 않으면 넋은 흩어지고 마는 것이라 하였다. 오직 여러 종씨(宗氏)들은 특별한 정성을 바쳐 어느 파를 막론하고 각각 일가들을 살펴 일일이 수단(收單)해서 보내준다면 어찌 돈종(敦宗)의 대의가 아니겠냐고 밝히고 있다. 去九秋修書 仰?入覽 而厥後寥然無信 或有間?而然歟 訝鬱莫甚 謹未審 春府宗丈 氣力康健 而省餘?體節 履時諶? ?抱充健 閤節均慶 花樹僉節連安否 遠??祝 非比尋常 宗生 省候粗? 而以宗務度了已耳 ?我?祖翰林府君 積累基業 以遺子孫 百世之所不忘也 以若皇朝明族有九子受封之盛 墓道之衛 不?之廟 在所必備 而世代累革矣 文?無徵矣 許太宗衆 只以同?異貫待遇矣 自鄭氏西川君 ?使皇朝而還 明白九?爲同祖之孫也 旣知血脈之族 而敦睦之風 不振者 尙未?尊祖之所而然也 祖先之精神 卽子孫之精神 子孫不?享 則魂氣飄蕩 無所止泊 齊以致之 理當來依也 故壇享之設 是所起議也 記曰尊祖故敬宗 敬宗而敦睦之風 生焉 合九?而一之者 其在斯壇 其在斯案乎 敦宗慕先之道 不於斯而奪慕 ?願賢宗氏 特爲彈誠 無論某? 貴省內?有申?之宗 則 一一收單以送 豈非敦宗之?誼乎 甚企甚企 餘在後源源 謹不備 候禮 戊寅 十一月 二十二日 三陵壇?同宗案執務所 宗生 文永 拜 尊堂德高望重之下 不可無序 故去秋書達 而何?是寥然也 <기타참조>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참고문헌>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