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김성택필 서간

추천0 조회수 9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김성택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김성택이 형님에게 보낸 안부서찰이다. 아들은 잘 있는지 묻고 자신은 깊은 시골에서 전에 앓던 병이 그대로이며 노구는 건강한 날이 항상 적고 눈도 어두워지지만‚ 대 여섯 되는 손자들이 앞에서 놀아주니 늘그막에 그나마 위로가 된다며 신세 한탄을 길게 하고 있다. 이어 부인은 별탈 없이 잘 지내는지 금슬(琴瑟)이 아직 화해를 못해 매우 민망스러운 일이지만 그러나 조금 동정의 여유를 두면 어찌 우애롭게 즐길 날이 없겠냐고 적고 있다. 眷均美 胤君侍彩佳安否 幷卽遡仰不任勞祝 弟無聊窮巷 與病爲隣 尋老困? 有時侵身 健日?少 中又減眩昏症 攝望?苦 莫非衰相 ?何 孩孫五六男? 或遊戱眼前 警予?精 晩景滋味 只此已 婦阿無??在 而琴瑟?未偕和 見甚?然 然而微有動靜 豈無友樂之日哉 看渠貌樣 似有?親?懷 ?有精力之可及 一賜光臨若何 餘?草 不備 伏? 甲子 二月 念七 弟 聲宅 拜拜 <기타참조>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참고문헌>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