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이현필 서간

추천0 조회수 3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현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이현(李俔)은 충남 공주(公州)출신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이현이 왕수환에게 보낸 것이다. 땅은 멀고 사람이 용렬하여 묻는 사람이 없었는데 뜻밖에 편지를 내시고 은혜스럽게 유집(遺集)을 주시니 감사함을 형언하기 어렵습니다. 삼가 모춘(暮春)에 여러분의 체후가 편안하시고 복되시니 우러러 축하합니다. 저는 죽지 못한 여생이 갈수록 구차스럽기만 합니다. 요즘 매천집을 읽으니‚ 문장의 광대(廣?)함과 절의가 뛰어남은 우리같은 백(百) 사람의 무리를 부끄러워 죽게 합니다. 다행하게도 저같이 어리석은 자를 깨우쳐 주시고 더욱 여러분께 사랑해 주시니‚ 감격하고 감사함을 올릴 길이 없습니다. 다만‚ 떠도는 인생이 어느 때에 부평초처럼 떠돌다 만나게 될지 모르겠으니‚ 이것이 가히 흠(欠)이라 하겠습니다. 나머지는 여러분의 체후 철따라 보중하시길 비옵고 이만 줄입니다. 갑인년(1914) 3월 3일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