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유제양필 서간

추천0 조회수 173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유제양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유제양(柳濟陽)의 자는 낙중(洛中)‚ 호는 이산(二山) ? 안선재(岸船齋)‚ 본관은 문화(文化)이다. 시를 만 수를 지었으며‚ 구례 토지면에 있는 그의 99간 저택은 지방문화재로 지정되어 현재 유지‚ 관리하고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유제양이 왕수환에게 보낸 것이다. 혜서가 정중하여 성의가 사람을 감동케 하는데‚ 하물며 경체가 맑고 편안하심을 알게 되니 평소에 송축한 그대로입니다. 연암집(燕岩集) 일은 이미 성사가 되도록 기대하고 있으니‚ 저 난국사(蘭菊社)의 여러 힘을 합하는 것이 또한 좋은 일입니다. 특별히 합력(合力)을 도모하심이 어떠하겠습니까? 회답(回答)에 이제부터 시(詩) 짓지 않기로 철석같이 맹세했다고 하니‚ 과연 그러하시다면 제가 보잘것없는 글귀로써 전일에 자주 번거롭게 하였는데 오직 후회가 되지 않겠습니까? 창강(滄江)이 사람들과 글을 서로 주고 받는 것을 즐겨하지 않는다 하니‚ 꼭 그렇다면 그는 혜숙야(?叔?)가 답서주는 것을 즐거워하지 않은 것과 같습니다. 어찌 반드시 그렇게 해야만 합니까? 농암집(農岩集)은 천천히 보고 주셔도 늦지 않겠습니다. 저의 재실(齋室) 기문은 반드시 운초(雲樵)의 솜씨를 보여 주신다면 옛사람이 말한 「계포의 허락을 얻으면 천금(千金)을 얻은 것보다 낫다」라고 했으니‚ 손꼽아 기다리기를 천금을 얻은 것과 같이 하겠습니다. 매천집(梅泉集)은 남은 책이 있다 하니 다행입니다. 창강집 한 질의 책수는 얼마나 됩니까?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저는 세말(歲末)에 회포가 쓸쓸하여 재미가 없습니다. 오직 문체의 만왕을 빕니다 12월 23일 아침 제양은 절합니다 말씀하신 매천집 정가금(定價金) 2원을 부치니 정오표를 함께 부쳐 주시기 바랍니다. 창강집은 같은 편에 가져오지 못합니다. 한스러운 것은 공방(孔方) 형(엽전)과 교분의 단절이 요즘 더욱 심하여 마련할 방법이 없기 때문입니다. 참으로 한스럽습니다.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