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배명룡필 서간

추천0 조회수 73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배명룡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배명룡(裴命龍)의 자는 경중(敬仲)‚ 본관은 달성(達城)으로 전남 곡성(谷城) 출신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배명룡이 왕수환에게 보낸 것이다. 명룡(命龍)이 본래 한미(寒微)한데다 겸하여 학식이 얕고 짧으며 궁벽한 고을에 틀어박혀서 분(分)에 따라 고기잡고 나무하는 사람에 지나지 않을 뿐입니다. 지난날에 매천집을 간행할 때 귀향(貴鄕)의 인사(人士)가 와서 모연(募捐)하기에 적으나마 의연금으로써 의(義)를 좋아하는 성의를 나타냈으나‚ 가진 것은 적고 갖고자 함은 분수에 지나쳐 안 될 것이므로 책을 나누어 주실 것을 생각지 못했었고‚ 귀중(貴中) 집사(執事) 여러 군자들도 또한 어찌 저와 같은 사람에게 책을 주실 반(半) 뜻이라도 있었겠습니까? 이같이 생각하여 완전히 잊어버리고 있었습니다. 천만 뜻밖에 책을 압수한 변이 있어 연루의 화(禍)가 저같은 자에게 파급되어 오니 갑자기 한없는 곤란을 당하며 변명할 방책이 없습니다. 대게 저들이 저에게 분명히 무엇인가 있다고 인정하는 것은 구례 사람 왕모가 문초(問招)하는 데서 말하기를‚ 우리 몇몇 사람이 다 책을 사가지고 갔다고 했기 때문입니다. 이 어찌 근거없는 말이 아니겠습니까? 이와 같이 압박(壓迫)을 하여 변명할 길이 없으므로 이에 사람을 보내어 문하(門下)에 나아가게 한 것은 바로 결자해지(結者解之)를 바라는 바입니다. 아아! 하늘이 사문(斯文)을 돕지 않은 것이 이처럼 극에 이르렀는가? 귀하가 일찍이 이런 곤욕을 겪고 있다는 것을 들어서 알았고‚ 온 세상이 이와 같아서 선비의 기풍이 더욱 무너졌으니 탄식하고 탄식할 일입니다. 나머지는 삼가 갖추지 못하고 올립니다. 병진년(1916) 8월 19일 배명룡 재배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