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박노중필 서간

추천0 조회수 51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박노중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박노중(朴魯重)의 호는 창암(滄菴)으로 충북 청주(?州) 출신이다. 매천집분질자(梅泉集分帙者)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글은 박노중이 왕수환‚ 권봉수‚ 박창현에게 보낸 답장편지이다. 향기를 같이하는 난초(蘭草)요‚ 바늘을 끌어당기는 자석(磁石)인데 태화산 맑은 종소리가 밤중에 문득 정신을 깨우쳐 주니 영험한 마음이 서로 천리(千里)에 비친 것이 아니겠습니까? 황절사 매천집을 은혜롭게 주시어 받들어 읽으니 분개하고 비장한 생각에 뜨거운 눈물이 손바닥에 가득찹니다. 더욱이 여러 군자가 종사(從事)하여 어질게 수고하신 것을 알겠으니 감사하고 치하합니다. 저는 마땅히 여러분의 소매를 잡고 얼굴을 대하여 이 속마음을 다해야 할 것인데 남쪽 하늘에 구름이 아득히 멀어 아쉽고 애틋함을 금할 수 없습니다. 계축년(1913) 음 2월 9일 창암 생 박노중 배수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