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노원식필 서간

추천0 조회수 3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노원식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글은 노원식이 왕수환에게 보낸 편지이다. 서로 떨어진 거리가 하룻밤 방아 찧는 거리에 지나지 않는데 풍풍우우(風風雨雨) 속에 삼상(參商)이 된 탄식을 일으키게 하니‚ 형과 제가 쇠하고 늙은 탓이라 다시 말할 것도 없습니다. 이제 다행히 저를 찾아주신 영종숙(令從叔)에게 형의 안부를 자세히 들으니 이것만으로도 위로가 됩니다. 저는 가문(家門)에 복이 없어 8월 5일에 저의 당숙 상사(喪事)를 당하여 우체국을 찾아 엽서로 부고를 부쳤으나 우편도 또한 전해지지 않았으니 한탄스럽습니다. 나도 가지 아니하고 형께서도 돌아보지 아니하여 어느 때나 만나 즐겁게 악수할 것입니까? 편지를 쓰려고 종이를 대하나 슬픔을 어찌 다 말하겠습니까? 이에 몇 자로 가름하니 아마 없는 것보다 나을 것입니다. 나머지는 형이 입으로 다 전달해 주시리라 믿고 갖추지 않습니다. 오직 헤아려 주시기 바랍니다. 정사년(1917) 11월 11일 제 노원식 배상 매천집 중에 자(字) 성무(?茂)라는 사람은 남원 후천 노씨의 증손이고‚ 외종(?從) 응삼(應三)어른의 당질인데 말을 좀 더듬어 교제하기 어려우나 그 해 봄에 우리 종씨(宗氏) 경무(景戊)와 함께 운암강(雲岩江)에서 논 일이 있었습니다.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