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김용규필 서간

추천0 조회수 102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김용규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김용규(金容圭)의 자는 성구(誠九)‚ 본관은 김해(金涇)로 전남 곡성(谷城) 출신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김용규가 왕수환에게 보낸 것이다. 전날 그곳에서 곧 냉천(冷泉)으로 갔는데 양주사(梁主事)가 외출했다고 하므로 토동(土?)으로 가서 김문옥(金文?) 형을 보고 매천시(梅泉時) 간행의 일을 말하니‚ 흔연(欣然)히 응하면서 말하기를「내 비록 불민하나 또한 한 모퉁이를 담당하리다」하고 「내 장차 기회를 따라 통지하겠다」하여 퍽이나 기뻤습니다. 그리하여 유숙(留宿)하고 다시 냉천에 이르러 다행히 양주사(梁主事)를 만나 이 일을 전적으로 책임지라고 말하면서 당신과 내가 같은 동문생(同門生)인데 선생 시문집 간행 일에 대하여 말하자면 창강(滄江)이 있고 양주사가 있으니‚ 이것은 참으로 다행한 일이다. 만약 주사(主事)가 아니면 선생의 시(詩)가 장차 흔적도 없이 없어져 버릴 것이다 하며 책임을 재촉하였더니‚ 주사가 말하기를 「나 또한 이 일에 마음을 둠이 오래였으나 다른 사람의 뜻을 헤아려보면 나와 같지 않은 사람이 많기 때문에 이미 이 일을 그만두었다」라고 말하였습니다. 그 이야기를 반쯤 들으니 가슴이 심히 답답하였습니다. 부득이 다시 마음에 잊지 말라고 부탁하고 바삐 집에 돌아왔습니다. 그러나 이 일이 되고 안 되고가 어찌 꼭 양씨의 응하고 응하지 않음에 있겠습니까? 남쪽에는 김문옥(金文?)이 있고‚ 북(北)에는 박창현?권봉수 양씨(兩氏)가 있으니‚ 이 일이 족히 이루어질 것으로 어찌 양(梁)씨의 따르지 않음을 걱정하리오. 회답을 바랍니다. 나머지는 복중 체후가 철다라 만중하시기를 빌며 이만 줄입니다. 임자년(1912) 섣달 촤흘 생 김용규 배상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