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강백수필 서간

추천0 조회수 78 다운로드 수 4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강백수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강백수가 왕수환에게 보낸 것이다. 우리 고을의 여러 군자 가운데 매천(梅泉) 선생은 진실로 천추 만세(千秋萬歲)의 사람으로 시와 문장(文章)을 다 잘한다 이름났고‚ 소천(小川) 선생의 시는 오언칠언율과 절구를 잘하여 시경(詩經)과 초소(楚騷) 의 유운(遺韻)을 얻었으며‚ 해학(涇鶴) 선생은 담론(談論)을 잘하는 것으로 칭하여 풍류가 전호남(湖南)에 밝게 비쳤으니‚ 오늘날 사람들이 이것을 잘 이야기 합니다. 그 시절에는 나라 안에 일이 없어서 여러 노인들이 포의(布衣) 가죽띠로 향리를 나가지 아니하고 시와 글로 서로 즐기니‚ 한 고을이 어찌 그리 아름다웠습니까? 그로부터 10년도 채 되지 못했는데 선배(先輩)의 풍류를 다시 이을 사람이 없어 하늘과 땅을 우러러보고 굽어보매 슬퍼집니다. 특히 우리들 곽식인(藿食人)은 하루종일 찬물만 마시고 있는데 여러 선생의 유집(誘集)이 섞여서 한 길이나 나열되어 있는 것은 모두 규사와 인포와 표태(豹胎)와 성순(?脣) 같은 좋은 음식으로‚ 비록 먹고 싶지만 그 작은 배에 어찌하겠습니까? 거칠고 쓸쓸한 마을에서 채소 반찬에 밥도 제대로 지어먹지 못하여 바야흐로 주림을 참은 지 수일에 매천집의 찌꺼기라도 먹고자 하나 이 문집을 구할 길이 없으니 진실로 쥐와 다람쥐 같이 복이 없음에랴. 책상머리에 황금(黃金)이 다 없어져 평생에 제일 살풍경(殺風景)임을 스스로 탄식합니다. 오직 귀하께서 이 처지를 양해하십시오. 가물어 더위가 심히 혹독한데 문기(文祺) 만안(萬安)하십니까? 저는 용렬하여 말씀드릴 것이 없으며‚ 마침 느낀 바가 있어 외람되이 잠꼬대같은 말을 하였으니 용서하시고 책망하시어 넓으신 이해를 바랄 뿐입니다. 갖추지 못하고 올립니다. 계축년(1913) 7월 7일 오후 제 강백수 배수합니다.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하‚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하‚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전싱문화연구원‚ 199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