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고용주필 서간

추천0 조회수 8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고용주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고용주(高墉柱)의 자는 현중(?中)‚ 호는 봉계(鳳溪)‚ 본관은 장흥(長興)이다. 1903년에 성균관 박사‚ 공립구례보통학교 교사였다. 매천야록중 1910년 8월 22일 합방소서(合邦詔書)부터 동년(同年) 9월 10일까지를 보충하여 기록하였다. 1914년 구례속지(求禮續誌) 발간을 검열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편지는 고용주가 왕수환에게 보낸 것이다. 삼가 편지를 받아 위로됩니다. 보여 주신 대작(?作)을 읽으니 참으로 좋습니다. 다만 이 글이 고법(古法)이고 운어(韻語)가 아니면 4‚ 6문이요‚ 또 한두 군데 잘못된 곳이 있습니다. 즉 사람은 재상도 안되며‚ 땅은 먼 외딴 곳이라 한 것과 삼불후(三不朽) 중의 두 가지를 갖추었다 하는 것과 거원(?瑗)과 화교(和嶠)라고 한 것은 제가 보는 바로는 조금 하자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살펴보면 이같이 잘못 볼 것만이 아니오니 그대로 쓰는 것이 대단히 좋겠습니다. 졸작을 보내 드리는데 이는 지어본 것이고‚ 꼭 쓰시라고 한 것이 아니므로 이것이 다만 내 성의를 드림이요‚ 스스로 잘했다고 하는 것이 아닙니다. 보신 후 이를 평하기를 내가 대작(?作)을 평하는 것 같이 하여 주시기 바라고 바랍니다. 하간(?間)의 편지에 년 월 일을 말한 것은 사람마다 당신 뜻과 같이 그 순서를 잃고 알지 못한 것을 모른 바가 아니나‚ 저들은 좀벌레의 소위(所爲)와 같으니 그 하는 짓이 비록 미우나 어찌하겠습니까? 의리를 말하려고 한다면 털방석에 무명배를 얹는 것이 더불어 말할 수 없는 말이 아니겠습니까? 괴물(?物)이라고 한 것은 성내지 마십시오. 만일 그렇다면 어떤 사람이 괴물이 아니겠습니까? 다만 자식을 잘 가르치지 못하여 매번 사람들의 뜻에 맞지 아니하니 누구의 허물이겠습니까? 용서하시고 가르쳐 주십시오. 모간기(募刊記)는 감히 적은 것으로써 더럽힙니다. 선생께서 적다고 하시겠습니까? 졸작은 자식이 돌아온 편에 돌려보내 주십시오. 나머지는 모두 말씀드리지 못하겠습니다. 음 8월 4일 생 고용주 이배사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하‚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하‚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전싱문화연구원‚ 199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