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왕수환필 서간

추천0 조회수 64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왕수환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왕수환(?粹煥)은 1912년 『개성가고(開城家稿)』를 간행하였으며‚ 1908년 봄에 세워진 사립학교인 구례 호양학교(壺陽學校)의 교사로서 학생들에게 독립사상을 고취시키고 황현‚ 김택영 등과 교유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왕수환이 고용주에게 보낸 것이다. 서로 바라보는 거리요‚ 성기(聲氣)도 서로 통하는데 하물며 또 자제가 우리 학교를 아침에 왔다가 저녁에 돌아가니 부르면 응할 수 있고‚ 물으면 답할 수 있는데도 제가 게을러서 4‚ 5개월이 되도록 편지 한 장 못한 것이 흠입니다. 그러나 이 어찌 원망하겠습니까? 자지미우(紫芝眉宇)를 보지 못하는 것이 한스럽습니다. 한 번 만나면 손뼉치며 무릎을 맞대고 담소를 진지하게 할 것입니다. 그러나 뜻만 있고 이루지 못하니‚ 용렬한 이 사람이 어진이를 사모하는 성의가 부족함이 아니겠습니까? 스스로 부끄럽습니다. 지난봄에 논의하였던 매천집(梅泉集) 간행의 일은 좋은 일이나 잘 되지 못하고‚ 다만 지난번의 편지에 좋은 때를 기다리자는 말과 같이 기다렸는데 반년도 못되어 이 일이 이국(異國) 땅에 있는 사람의 주변에서 이런 말이 나올 줄을 어찌 짐작이나 했겠습니까? 그 사람은 누군고 하니‚ 김창강입니다. 창강이 매천의 시문집을 보시고 비로소 온 솥의 국물 맛을 알고 황계방(黃季方)에게 편지를 하여 그 비용을 마련할 것을 독촉하시며 그 일을 스스로 맡겠다 했습니다. 또 매천의 여러 자제들에게 수단(收單)하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그 뜻은 황계방으로 하여금 박전(薄田)이라고 빨리 팔도록 말한 것입니다. 이 일을 그만둘 것입니까? 우리들의 의논이 아직 미치지 못했는데 경소씨가 맡겠다고 하기에 나는 통문(通文)을 만들어 한 통씩 보냈습니다. 장평자가 보면 졸문으로 여길 줄 아오나 갑자기 일어난 일이기 때문에 그렇게 되었습니다. 잘 생각해 보지도 않고 일을 추진했다고 책망하지 않으시면 다행이겠습니다. 나머지는 오직 한가을 가르치는 일의 여가에 통문의 문리를 보아 주시고 기거(起居) 절서(節序)를 따라 평안하시기 바라며 이만 줄입니다. 신해년(1911) 8월 왕수환 배상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하‚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하‚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전싱문화연구원‚ 199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