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화조6폭병풍

추천0 조회수 66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화조6폭병풍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작가> 채용신의 본명은 동근(東根)‚ 자는 대유(?有)‚ 호는 석지(石芝)?석강(石江)?정산(定山)이다. 1850년 서울 삼청동에서 대대로 무관을 지낸 가문의 장남으로 태어나 1886년 무과에 급제하여 20여년을 관직에 종사하였다. 조선시대 전통양식을 따른 마지막 인물화가로‚ 전통 초상화 기법을 계승하면서도 서양화법과 근대 사진술의 영향을 받아 ‘채석지 필법’이라는 독특한 화풍을 개척하였다. 화법의 특징은 극세필을 사용하여 얼굴의 세부 묘사에 주력하고‚ 많은 필선을 사용하여 요철?원근?명암 등을 표현한 점 등이다. 이러한 영향은 그가 그린 화조도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여러 종류의 화려한 물감‚ 즉 당채?진채?석채 등 안료로 채색한 화조민화이다. 군청색과 녹청색‚ 붉은색 계열을 주로 사용하고 구륵(鉤勒)법으로 묘사하여 장식성이 강하고 고전적이며 화려한 그림으로 비단에 그렸다. 이는 본래 청록산수화의 전통에서 유래된 것으로 조선 후기에는 십장생도 등의 민화 분야에서 다수 제작되었다. 그림에서 주로 사용된 청(靑)?황(黃)?홍(紅)?백(白)?흑(黑)의 오채(五彩)는 음양오행을 상징한다. 따라서 이 민화의 제작의도에 우주 만물은 음양과 오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요소들이 서로 균형 있게 통합될 때 질서를 유지하게 된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그림 역시 민화 형식으로 그려진 화조도로 꽃과 함께 의좋게 노니는 한 쌍의 새를 소재로 하였다. 화조도는 목련‚ 모란‚ 동백‚ 배꽃‚ 연꽃‚ 석류‚ 국화‚ 갈대 등과 참새‚ 꿩‚ 까치‚ 메추라기‚ 기러기 등을 물이나 바위와 함께 그렸으며‚ 주로 병풍으로 재구성되어 신혼부부의 신방 또는 안방 장식용으로 쓰였다. 이러한 소재들은 단독으로 그려지는 경우도 많으며 특히 부귀를 상징하는 모란꽃은 혼례식의 대례병(?禮屛)으로 많이 사용하였다. <기타참조> "옛그림에 보이는 꽃과 새"‚ 순천대박물관‚ 2002. <참고문헌> "옛그림에 보이는 꽃과 새"‚ 순천대박물관‚ 200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